학술논문
펠드만(Feldman)의 감상모형에 기반을 둔 유아 미술 프로그램 연구
이용수 850
- 영문명
- A Study on Young Children’s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Feldman’s Art Appreci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채영(Jung Chae You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2券 1號, 171~19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아미술교육에서의 최근 미술 감상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도 감상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펠드만(Feldman) 미술 감상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유아들을 위한 미술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문헌연구들을 토대로 미술작품을 선정하고 감상미술프로그램을 구성하였는데 4, 5세 유아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총 10회의 프로그램으로 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은 감상미술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어려움을 보안하기 위해서 교사용 지침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혹은 교사가 아니더라도 집에서 부모가 아이와 함께 미술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검증 및 지속적이 보안을 해나갈 것 이며 창작활동과 감상활동이 조화를 이루는 통합미술교육에 적합한 교사용 지침서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recent, the importance of art appreciation in art education for children has been focused. Accordingly, eve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t a national level suggests standards for the performance of appreciation activity.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t 4 and 5 based on the Feldman’s art appreciation model. For this, based on diverse literature researches, artworks were selected and a 10-week art appreciation program was composed, and the art expression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at 4 and 5 were classified in the same appreciation activities for composing programs by age appropriate for each development stage. The purpose of the program development is to provide guidelines for teachers to supplement difficulties in playing teacher’s roles in appreciation art. In addition, it has the purpose to make parents and children enjoy art activities together at home. Verification and consistent supplements for the developed program will be made through follow-up studies,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eachers proper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that harmonizes the creative activity and the appreciation ac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유아 미술 감상
Ⅲ. 유아 미술 프로그램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 Data-Driven Study on Spatial Network of Learning Faciliti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Centrality and Educational Disparity
-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이 디자인 창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디자인을 중심으로
- AI 기반 감성적 사운드 디자인 연구 - 감성 데이터와 AI 학습 모델의 융합 가능성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