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경의 차이에 따른 심상 연상의 창의성 분석
이용수 109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a Creativity of Imagery Association due to Environmental Differences: Focused on a Comparative Experiment of Children in Korea and Nepal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섭(Kim, Bosub)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2券 1號, 65~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미지 연상 테스트를 활용해 한국과 네팔의 10세에서 14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이미지 연상 과정을 비교하는 비교 실험 연구이다. 이 연구는 문화적, 환경적 영향이 이미지 연상 과정에 어떤 차이를 낳는가의 문제를 답하기 위해 질적, 양적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아동이 성장하는 단계에서 환경이 심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 질문은 궁극적으로 ‘심상은 어떻게 생성되는가?’의 문제에 대답함으로써 환경에 따른 심상의 창의적 차이에 대해 질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닌다. 이 연구는 한국의 10~13세 아동 32명과 네팔의 10~14세 어린이 9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를 분석했다. 연상 실험은 미술 수업 과정에서 토란스의 TTCT를 변형하여 16개의 도형들 – 선, 형상, 문자, 숫자 등의 나머지를 연상하여 그리도록 했다. 이들 실험을 통해 각각 약 519, 464개의 연상 이미지를 얻었으며, 연구자는 비교 분석을 시도하여 환경이 어떻게 심상의 사고 과정과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지 차이를 분석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omparative research on imagery association process of children from 10 to 14 years of age between in Korea and Nepal applying the imagery association test. This study explores answers to the question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of: how the environmental effects on children growing up relate to generating an imagery process in the mind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can images be gener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2 children aged 10 to 13 for the period of 4-14 Jan., 2016 in Korea, and 90 children aged 10 to 14 for the period of 16-22 Aug., 2016 in Nepal. I conducted ‘Imagery Association Test’ applied on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presented by Torrance in 1959) that extensively has been used to assess the ability of creative thinking. I used the test to warm up for extending ideas on educational programs of art lecture. The test was made up of 16 images that drawn parts of line, shape, character and number. Children were asked to completely draw the rest associated form from the following part. It was deduced totally each 519, 464 images as results. I observed much differences on the comparative results, also I recognized that the environment has an influence on the way of seeing and thinking about the world, which makes the way of imagery thinking process different in the min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at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a variety and a meticulous observation to students who have the creative aspect of imagery association and the opposite fixated limit.
목차
Ⅰ. 서 론
Ⅱ. 연상에 대한 이론적 검토
Ⅲ. 실험의 실행
Ⅳ. 결과의 해석
Ⅵ.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 Data-Driven Study on Spatial Network of Learning Faciliti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Centrality and Educational Disparity
-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이 디자인 창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디자인을 중심으로
- AI 기반 감성적 사운드 디자인 연구 - 감성 데이터와 AI 학습 모델의 융합 가능성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