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쓰기장애학생의 철자와 작문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

이용수 213

영문명
Predictors for Spelling and Composition of Students without and with Writing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애화(Ae Hwa Kim) 김의정(Ui Jung Kim)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2권 제4호, 263~2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6학년 일반학생과 쓰기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철자와 작문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6학년 355명(일반학생 310명, 쓰기장애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철자 성취도(KISE 기초학력검사-표기능력, 연구자 개발 철자 검사) 및 작문 성취도 검사(KISE 기초학력검사-글구성력, 교육과정중심측정)를 실시하였고, 철자 및 작문 관련 예측변인 검사(예: 동음이철어 검사, 표기코딩 검사, 형태인식 검사 등)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의 철자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검사의 유형과 상관없이 동음이철어, 표기코딩, 반대말, 형태인식이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쓰기장애학생의 철자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검사의 유형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났는데, KISE 기초학력검사-표기능력 검사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반대말이, 연구자 개발 철자 검사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표기코딩이 나타났다. 셋째, 일반학생의 작문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검사의 유형과 상관없이 형태인식과 빠른자동이름대기가 공통적으로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사 유형에 따라 동음이철어, 반대말, 비슷한말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쓰기장애학생의 작문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검사의 유형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났는데, KISE 기초학력검사-글구성력 검사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형태인식이, 교육과정중심측정 검사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반대말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과 연구결과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ors for spelling and composit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 total of 355 (310 students without writing disabilities and 45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elementary students in grade 1 to 6 participated in spelling measures(i.e., KISE BAAT-Spelling, researcher-developed spelling test), composition measures(i.e., KISE BAAT-Composition, Curriculum-Based Measurement), and predictor measures(e.g., homophone choice, orthographic coding, antonym, morphological derivatio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students without writing disabilities, homophone choice, orthographic coding, antonym, morphological derivatio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spelling achievement regardless of spelling measures. Second, for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antonym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spelling achievement measured by KISE BAAT-Spelling test, and orthographic coding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spelling achievement measured by researcherdeveloped spelling test. Third, for students without writing disabilities, morphological derivation and rapid naming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composition achievement regardless of composition measures. In addition, homophone choice, antonym and synonym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composition achievement measured by eithr of composition measure. Forth, for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morphological derivatio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composition achievement measured by KISE BAAT-Composition test and antonym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composition achievement measured by CBM.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애화(Ae Hwa Kim),김의정(Ui Jung Kim). (2018).초등학교 일반학생과 쓰기장애학생의 철자와 작문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 특수교육학연구, 52 (4), 263-286

MLA

김애화(Ae Hwa Kim),김의정(Ui Jung Kim).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쓰기장애학생의 철자와 작문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 특수교육학연구, 52.4(2018): 263-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