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척도 국내타당화

이용수 184

영문명
The Validation of Teacher Efficacy for Inclusive Practices (TEIP) Scale for Korean Pre-service Genera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송지아(Song Ji a) 최하영(Choi Ha you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2권 제4호, 49~6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호주에서 개발된 척도인 Teacher Efficacy for Inclusive Practices(TEIP)를 예비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3개의 대학으로부터 314명의 예비일반교사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척도를 구성하는 18개 문항은 번역된 후 2차에 걸쳐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에 연구대상자에게 설문지로 배부되었다. 본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모형적합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선행연구와 일치하게 3개의 요인(교수, 행동, 협력)으로 성분행렬을 이루었고, 18개 문항 중에서 교수요인 6개, 행동관리요인 5개, 협력요인 3개 문항으로 총 14개 문항이 추출되었고, 이에 대한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모형적합도지수(CFI, GFI, IFI, TLI, RMSEA)를 검증한 결과 TLI값이 수용수준에 약간 미치지 못하였지만, 대체로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를 나타났다. 14개 문항 전체의 Cronbach’s ɑ값은 .869으로 양호한 수준의 문항내적일치도를 보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 결과 TEIP는 국내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타당한 척도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EIP(Teacher Efficacy for Inclusive Practices) scale for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in the Korean context. TEIP was originally developed by Sharma, Loreman and Forlin(2012) to measur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for inclusive education, and has been used in different countries. For this study, 314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were participated. The original scale was translated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For the content validation of the translated items, a group of 10 professors and another group of 78 teachers were asked to evaluate the clarity and adequacy of each item.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conducted. Also,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also employ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SPSS 18.0 and AMOS 18.0 were unitized for the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same three-factor structure of EII, EMB and EC as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 final validated scale consisted of 14 items after deleting 4 items from EFA. For CFA,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were also verified. Using CFI, GFI, IFI, TLI, and RMSEA, the model fit was evaluated to be acceptable. The scale had adequate reliabilities as the Cronbach’s ɑ values for the factors ranged from .744 to .845. Based on the evidence of the validation, it was found that TEIP can be used in the Korean context as a validated scale to measure Korean pre-service general teachers’ self-efficacy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지아(Song Ji a),최하영(Choi Ha young). (2018).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척도 국내타당화. 특수교육학연구, 52 (4), 49-67

MLA

송지아(Song Ji a),최하영(Choi Ha young).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척도 국내타당화." 특수교육학연구, 52.4(2018): 49-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