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에서 범교과 학습의 맥락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현 가능성

이용수 390

영문명
Implementation possibilit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s Cross curricular Contex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운선(Kang Woon s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1권 1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 수준과 실천의지의 분 석을 통하여 사회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확률 표집으로 대구, 경북, 울산 지역에서 재 직 중인 사회과 교사 30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 하였으며, 이해 수준과 실행 의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처리도구로 SPSS Ver, 17.0을 사용하였다. 사회과 교사의 이해 수준과 실행 의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 이후로 지속가 능발전교육의 패러다임이 ‘환경과 경제발전의 균형’으로부터 ‘환경, 경제, 사회의 조 화로운 발전’으로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응답자들의 대부분이 ‘환경과 경제발전 의 균형‘ 추구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환경, 경제,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으로 이해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영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 영역과 사회 영역에 속하 는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지속가능 발전교육을 실행하는데 장애요인으로서 전문성 부족을 지목하였으며, 지속가능발 전교육을 시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시행하지 않는 이유로서 사회과의 관련성을 지목하였다. 넷째, 목표와 내용 요소에 대한 이해 수준은 낮지만 지속가능 발전교육을 실행하려는 의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력, 학교급, 성별 변인에 따라 이해 수준과 실천 의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하여 사회과 교사들이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면 범교과 학습 주제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시행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범교과 학습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련된 연수 프 로그램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to integra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social studies through the level of social studies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al willness toward ESD. For this I select 304 social studies teachers who are served in Daegu, Gyeongsangbuk-do and Ulsan area by nonprobability sampling.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 to measure conceptual definition of ESD, understanding on content of ESD, experience of ESD, barriers and teacher practical wilness toward ESD.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most of teachers answered that conceptual definion of ESD is balance of environment pt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 few teachers replyed that conceptual definion of ESD is balanced development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Second, in terms of contents element of ESD, teachers discriminate contents of environment domain enough, their levels to recognize contents belonged to economy domain and society domain is very low. Second, teachers point out lack of expertise as barriers of educational practice. Third, in spite of their low understanding level, practical willness toward ESD is to appear high. Fourt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s service career and whether teacher service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influnced levels of understanding and pratical willness.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 hat implementation possibility ESD in social studies is enough, if only teachers have apportunity to strengthened a professionalis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운선(Kang Woon sun). (2011).사회과에서 범교과 학습의 맥락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현 가능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 (1), 1-27

MLA

강운선(Kang Woon sun). "사회과에서 범교과 학습의 맥락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현 가능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1(2011):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