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 복합 나선형 외상(Police Complex Spiral Trauma)에 관한 연구 - 직무상 외상경험을 중심으로 -

이용수 241

영문명
A Study on Police Complex Spiral Trauma(PCST) - Focusing on the types of occupational trauma cases -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이미화(Mi-Hwa, Lee) 정병수(Byung-Soo, Jung)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13권 제4호, 87~10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 복합 나선형 외상(PCST: Police Complex Spiral Trauma)의 유형 중 그동안 논의 되지 않았던 경찰공무원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CPTS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에 관한 연구로서 직무상 경험할 수 있는 외상사건 유형인 총기 및 흉기, 사망 및 변사체 목격 사건과 CPTSD의 관계를 회복탄력성의 매개변수로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통한 결과는 첫째, 사망사고 및 변사체 목격은 PCST(정서충동 변화)에 정(+)적인 영향관계가 제시되었다(β=.152 p<.017). 둘째, 사망사고 및 변사체 목격은 PCST(신체화 증상 및 의미체계의 변화)에 정(+)적인 영향관계가 제시되었다(β=.035 p<.045). 셋째, 회복탄력성은 PCST의 하위요인인 정서 및 충동조절 기능이 변화(β=-.528 p<.002), 주의력 의식 및 자기인식의 변화(β=-.215 p<.026), 대인관계의 변화(β=-.215 p<.000), 신체화 증상 및 의미체계의 변화(β=-.180 p<.000)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PCST중 CPTSD의 영향요인으로 사망사고 및 변사체 목격이 확인되었고, 회복탄력성과의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PCST분야의 중요한 요인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omplex post traumatic stress(CPTSD) among police officers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the types of Police Complex Spiral Trauma(PCST), and this study discussed the types of occupational traumatic events such as using firearms or weapons, deaths and witnessing of human corpse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the resilience was confirmed as a parameter.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that firstly, the accidental deaths and the witnessing of human corp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hange of emotional impulsiveness of Police Complex Spiral Trauma(β=.152 p<.017). Secondly,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tality and witnessing of human corpses in the somatization symptom and the change of the semantic system of the Police Complex Spiral Trauma(β=.035 p<.045). Thirdly, the resili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subfactors of Police Complex Spiral Trauma such as emotional and impulse control functions(β=.528 p<.002), changes in attitude and self‐awareness(β=.215 p<.026),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β=.215 p<.000), and changes in somatization symptoms and semantics(β=.180 p<.000). In other words, important factors in the field of Police Complex Spiral Trauma wer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effects of CPTSD in PCST were confirmed by mortality and witnessing of human corpses and the influence of resilience.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분석결과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화(Mi-Hwa, Lee),정병수(Byung-Soo, Jung). (2017).경찰 복합 나선형 외상(Police Complex Spiral Trauma)에 관한 연구 - 직무상 외상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범죄심리연구, 13 (4), 87-104

MLA

이미화(Mi-Hwa, Lee),정병수(Byung-Soo, Jung). "경찰 복합 나선형 외상(Police Complex Spiral Trauma)에 관한 연구 - 직무상 외상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범죄심리연구, 13.4(2017): 87-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