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문화진단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이용수 249

영문명
Cultivating A Change of School Culture to Improve ClassroomTeaching: Assessing Innovative School Cultur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현명(Lee, Hyun-Myoung) 이혁규(Lee, Hyug-ky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4호, 469~49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혁신 컨설팅을 위한 학교문화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도구 개발과 활용에 대해서 알아보는 연구였다. 학교 문화의 양적인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는 진단도구는 교사와 학생이 진단하는 학교문화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수업혁신 컨설팅에 반영하였을 때 학교문화가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더하여 학교 혁신을 지향하는 다른 학교 교사들과 비교해서 어떤 점이 유사하고 어떤 점이 다른지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1차 설문 분석결과에 따르면 A 중학교 교사와 학생 모두 배움의 공동체 방식의 수업구조와 방식에 익숙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일반학교 교사들에 비해 수업공개와 협의회에 상대적으로 유연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 역시 배움의 공동체로 인해 수업구조와 방식이 많이 달라지고 있음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차 설문 후 수업혁신 컨설팅 프로그램이 운영된 후 2차 설문 결과에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배움의 공동체와 수업혁신에 부정적인 인식을 비율이 다소 높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학교와 비교해보았을 때 A 중학교 교사들은 여전히 자신의 학교문화에 긍정적인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제안하고 하는 점은 학교문화를 진단함에 있어서 양적인 진단도구의 한계는 있으나 변화의 추이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와 연구기관들은 학교 상황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해야 할 뿐 아니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심층적 관찰과 면담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utilize assessment tools for identifying a change of school culture and improving classroom teaching which leads teachers and researchers to innovative teaching, based on its external consultation. Assesment tools to address the degree of quantitative change of school culture was used as an cultural indicator to illustrate its positive change made by consultation for innovative teaching. In addition, it was also focused on examining whether it had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assessment, A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ere mostly shared the structure and methods of learning community created by Manabu Sato. Teachers in this learning community were more flexible toward open class and dialogue about their teaching. Students were also recognized the structure and methods of their classes changed by the influence of such learning community. After the first assessment of the school culture, researchers were trying to compare what kind of changes were observed between the first assessment and the second one. In the result of the second assessment, researchers discovered that there were some negative impact on learning communities and teaching innovation. Such an negative effect of the change of school culture was still a lot better to compare with other schools which were not taken this new school reform effort.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although there was limitation of the quantitative assessment tools to address the degree of the change of school cultures, it was still a very useful tool to identify its changes. Therefore, schools an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ions need to develop a new assessment tool which reflect well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schools that they would research and utilize other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which are in-depth observation and focus-group interview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명(Lee, Hyun-Myoung),이혁규(Lee, Hyug-kyu). (2013).학교 문화진단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4), 469-494

MLA

이현명(Lee, Hyun-Myoung),이혁규(Lee, Hyug-kyu). "학교 문화진단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2013): 469-4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