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

이용수 859

영문명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현숙(Hyeon-Suk Lee) 강현석(Kang Hyeon-Su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4호, 305~3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과 성취 기준을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2007 개정 국어 10학년 성취 기준은 29개, 2009 개정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은 각각 15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절차적 지식을 적용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로 분류된 성취 기준의 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어Ⅱ는 국어Ⅰ의 연계 과목으로서 위계성을 지녀야 하지만 국어Ⅱ가 국어Ⅰ에 비해 심화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셋째, 국어과 내용 영역을 분석해보면 특정 영역에서의 편중 현상이 드러났다. 넷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하나의 성취 기준에 2개 이상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요구하는 성취 기준이 증가하여 교육 내용의 감축, 성취 기준의 축소가 실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섯째, 성취 기준에 사용된 동사를 분석하였을 때 명사와 동사의 구분이 모호한 부분이 많았다. 여섯째, 성취 기준에서 일부 동사의 사용 비중이 높고 의미가 매우 모호하여 성취 기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기가 어려우며, 해설서로도 보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고른 발달을 위해 다양한 범주를 반영한 성취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타당한 수업목표로 재조직해야 한다. 또한 교사가 성취 기준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성취 기준의 진술이 보다 명확해야 하고 해설서를 통해 포괄성과 모호함을 보완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29 achievement standards in High School Korea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15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I and the 15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II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high school Korean subject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apply procedural knowledge’ in Korean for the 10thgrade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in Korean I and Korean II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cond, Korean II should have hierarchical properties as an associate subject with Korean I. But it is difficult to admit that the latter has more profound contents than the former. Third, in the grammar section, most achievement standards are in the understand category. Fourth, the 2009 version has increased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require more than on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of cognitive course for each item, and no substantial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whole achievement standards. Fifth, the analysis of verbs us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eals that there are a lot of parts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nouns and verbs is vague. Sixth, it is difficult to exactly underst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s they contain a high frequency of the occurrences of some verbs and have very vague meanings. In order to help learners acquire various pieces of knowledge and broadly develop a cognitive course, we are required to provide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ing diverse categories. Teachers also by themselves should not apply those achievement standards concentrated on only some categories, but need to make efforts to precisely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sider learners’ levels to reorganize class goa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숙(Hyeon-Suk Lee),강현석(Kang Hyeon-Suk). (2013).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4), 305-325

MLA

이현숙(Hyeon-Suk Lee),강현석(Kang Hyeon-Suk).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2013): 305-3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