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통합 방식 연구 :

이용수 238

영문명
A study on the approaches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introdu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민환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7권 1호, 63~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하여 기존의 총론에서 제시하였던 교육과정 통합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통합 교육과정이 나타난 것은 4차 교육과정 때부터이지만, 통합 개념이나 방식에서 아직 통일된 견해가 정착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그동안의 통합 교육과정 관점과 실태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통합 교육과정에서 볼 수 있는 특징과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가 불분명하며, 그 방식도 확고하지 않다. 교과 간 통합으로부터 활동 주제 통합으로 이행되고 있으나 기본 방식은 여전히 교과 간 통합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우리들은 1학년’ 교과만 오로지 내용 통합을 전제로 한 탈 교과 성격을 띠고 있다. 셋째, 각 교육과정 시기별 통합 방식이, 교과에 따라 서로 다르기보다, 모든 교과에서 동일하다. 넷째, 통합 교육과정의 적용 대상이 아직 1, 2학년에 한정되어 있다. 다섯째, 통합 정도가 부분 통합이 지배적이며, 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부분적으로 완전 통합으로 이행하고 있다. 여섯째, 통합 교육과정의 개발 주체가 여전히 국가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의 통합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진지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와 관점 및 준거 등을 명백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통합 방식을 교과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통합의 대상을 1, 2학년 이상으로 확대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통합 교육과정 개발 주체를 국가 일변도에서 벗어나 교사들이 적극 참여하는 다원화 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통합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교사 연수를 지속적이며 체계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통합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을 도울 수 있는 연수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a topic of discussion in the field of curriculum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 early \ 80s in Korea. It was seen at the 4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for the first time, and lasted 7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Nevertheless the concept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has been possessed by the integration of the subject. These are still remained key tasks to solv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task of integrated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light of critical review of the present curriculum documents, some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agreements on the definitions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meanings, references and viewpoints of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identified more clearly. If the meaning of integration defined plainly, the traits and approaches of integrated curriculum shall be more distinct. Second, the approaches to integration of curriculum should be diverse with relations to the traits of different subjects. Third, it will be considered the objects of integration are extended from 1st or 2nd grade to the above grade. We will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desires which much integration of upper class curriculum. Fourth, The main body of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is nation in Korea. Teachers have been removed from developing curriculum. More teachers take part in an activity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primary school level in the future. Finally, there will be more need systematic in-service education about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teachers\ right understanding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It seems that intensified in-service education is one of the fatal factor of successiv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 통합 방식의 다양성
Ⅲ. 초등학교 교육과정 통합 실태에 따른 주요 문제 검토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환. (2007).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통합 방식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 (1), 63-88

MLA

김민환.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통합 방식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2007): 6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