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영남지역 가사에 나타난 道統구현 양상과 그 의미

이용수 192

영문명
The Do-tong implementation aspect and its meaning in the Ga-sa of Yeongnam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조유영(Jo Yu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3輯, 209~23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wangnam-byeolgok and Hwangsan-byeolgok are written by Gwanbin Lee(1759~?) and Heebae Yoon(1827~1900). These two authors lived in Yeongnam area. Hwangsan-byeolgok is adaptation by Hwangnam-byeolgok . Adapt is a literary custom for Gasa in late Joseon dynasty so researching adapt-consciousness is important between original and different edition. The Aouthor of Hwangsan-byeolgok is not Heebae Yoon but Youngseob Yoon was lived in Sunsan area in 19th century. Then, Youngseob Yoon and Gwanbin Lee lived same area, so it is possible to guess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wangnam-byeolgok and Hwangsan-byeolgok . Hwangnam-byeolgok and Hwangsan-byeolgok are quite similar but they have lots of gap on descript Dotong. The special situation of Yeongnam Noron is reflected in Hwangnam-byeolgok . However Hwangsan-byeolgok is reflected Yeiongnam Nam-party’s Dotong-consciousness. Accordingly, the difference of descript Dotong is an evidence which is could know Youngseob Yoon’s adapt-consciousness was made in same community’s Cultural effect.

목차

1. 서론
2. 「황산별곡」 의 작자 문제 검토
3. 조선후기영남지역가사의도통구현양상
4. 조선후기영남지역가사에나타난 도통 담론의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유영(Jo Yu young). (2017).조선 후기 영남지역 가사에 나타난 道統구현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언어문학, 103 , 209-233

MLA

조유영(Jo Yu young). "조선 후기 영남지역 가사에 나타난 道統구현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언어문학, 103.(2017): 209-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