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미술 융합 교육을 통한 고전시가의 ‘형상화’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508

영문명
A study on Integrated Education of Imagery in Korean Classical Poetry between Korean and Arts - Focusing on “Observing” Verbal and Formative Expressions in 「Mahwasa」 and 「Baekmae」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전가람(Jeon Ka ram)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1권 제2호, 289~32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형상화는 문학에서 창작자가 의도한 바를 문학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인 동시에 수용자가 문학 텍스트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여기에서 의미를 전달하게 하는 매개가 되는 것이 바로 이미지이다. 하지만 형상화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작품의 의미와 이미지 간의 연결고리를 찾는 작업은 쉽지 않다. 비록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의 이미지를 표상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어떻게 하여 시적 의미를 구성하는 기반이 되는지 파악하기는 어렵다. 특히 이 연구에서 다룬, 조선시대에 자연물에 의탁하여 어떠한 가치를 드러내는 시가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안민영의 연시조 「매화사」를 주 텍스트로 하고, 김홍도의 그림 「백매」를 보조 텍스트로 삼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해결 방안의 방법은 ‘관찰’에 있다. 하지만 문학 텍스트에 대한 단순 분석을 넘어 이미지를 더욱 생생하게 표상하고, 의미를 더 구체적이고 깊이 있게 파악하는 관찰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작품과 소재와 주제의식을 공유하는 회화 작품을 함께 보게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관찰을 두 가지 층위로 나누어 시가 텍스트에 대한 내적 관찰과 미술 교과와의 융합을 통한 관찰을 활용한다.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은 총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 ① 시가 텍스트에 대한 내적 관찰, ② 미술 교과와의 융합을 통한 관찰, ③ 형상화를 중심으로 시가 텍스트 설명하기, ④ 형상화에 중점을 둔 창작하기이다.

영문 초록

Imagery is a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used between poets and readers in poetry. In terms of poets, they use imagery to deliver their feeling or idea. And readers find the meaning of the text from the image.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 and meaning in appropri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for learner to find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meaning, especially in terms of classical poetry which shows virtues by using the image of natural object. This paper aims at solving the problem by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Arts, focusing on Observing with poetry text 「Maehwasa」 by Minyeong Ahn and picture 「Baekmae」 by Hongdo Kim. “Observing”, in this research, means careful watching, in order to help learners find the appropriate images in the text. However, to avoid verbal language-focused observing which can make learners analyze the text, not appreciate, it is suggested to observe the picture which has similar material and subject. Based on state above, the teaching-learning course is designed in four stages : Inner observing based on poetry text - Integrated observing with Fine arts subject - Explaining poetry text focusing on imagery - Creating based on imager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수업을 위한 제재 분석 : 「매화사」와 「백매」
3. 교육적 접근의 핵심 : 관찰
4. 수업 설계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가람(Jeon Ka ram). (2017).국어-미술 융합 교육을 통한 고전시가의 ‘형상화’ 교육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1 (2), 289-323

MLA

전가람(Jeon Ka ram). "국어-미술 융합 교육을 통한 고전시가의 ‘형상화’ 교육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1.2(2017): 289-3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