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교육에서 수업대화 연구의 경향과 과제

이용수 410

영문명
Trends and Tasks of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 on research purpose, object, method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김주영(Kim Joo young)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1권 제2호, 357~38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대화 연구가 국어교육 내에서 어떤 목적, 대상, 방법으로 연구되는지 종합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검토 대상 논문은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상반기까지 발행된 71편의 수업대화 연구 학술 논문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분류한 결과, 수업대화의 미시적 차원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 검토에서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구 방법을 검토한 결과, 대화분석 방법을 사용한 실증적 연구가 가장 많았다. 수업대화 연구 검토를 통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대화 연구에서 사용하는 개념을 확립하여 연구 목적에 알맞게 사용하고, 국어교육에서 수업대화 연구가 자리매김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모으고 정비하여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수업대화 연구의 대상을 교사는 예비 교사, 신규 교사, 경력 교사 등으로 구체화하고, 교사-학생, 학생과 학생에 대한 연구로 그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업대화의 기본 구조에 대한 유연한 태도와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수업대화 연구방법은 연구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대화분석 방법은 질적 연구 방식을 혼합하여 그 약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urpose, object and method are used in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and to suggest tasks accordingly. The paper to be reviewed is 71 academic lecture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3 to 2017. As a result of classify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research, micro-dimension study of class conversation was the most. In the study subjects,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in-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method, empirical research using dialogue analysis method was the most common. The tasks of the class discussion research review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cepts used in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and use it appropriately for research purposes, and to establish a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the subject of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pre-teachers, new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and the subjects should be expanded by research on teachers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depending on the nature and purpose of research.

목차

요약
1. 들어가며
2. 연구 방법
3. 수업대화 연구의 경향
4. 수업대화 연구의 과제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영(Kim Joo young). (2017).국어교육에서 수업대화 연구의 경향과 과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1 (2), 357-385

MLA

김주영(Kim Joo young). "국어교육에서 수업대화 연구의 경향과 과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1.2(2017): 357-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