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유사 고판본과 파른본의 위상

이용수 95

영문명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the Old and Pareun Editions of Samguk Yusa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상현(Kim, Sang-Hyu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2집, 3~2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파른본 ≷삼국유사≸를 다른 여러 고판본과 비교하여, 그 특징과 위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요약 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에는 권1부터 권4까지에는 저자가 기록되지 않고, 권5에만 國 尊曹溪宗迦智山下麟角寺住持圓徑冲照 大禪師一然撰이라는 저자명이 보인다. 저자의 職銜에 諡號 普覺이 포함되지 않았음에 유의하면, 일연이 國尊에 책봉되고 79세로 인각사 주지가 되었던 1285년이후로부터 84세로 입적한 1289 년까지의 일연 생존 시에 ≷삼국유사≸ 는 제5권까지 모두 脫稿되어 있었음을알 수 있다. ≷삼국유사≸에는 일연의 제자 無極이 덧붙인 기록이 두 군데 있지 만, 無極은 자신이 덧붙인 기록에 無極 記라고 밝혀 원래의 원문과 구별할 수있도록 했다. 그리고 무극은 ≷삼국유 사≸를 간행‧유통시켰을 것인데, 아마 이것이 초간이었을 것이다. 물론 고려 시대에 ≷삼국유사≸가 간행되었다는 구체적 사실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비록 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작성된 전적에 ≷삼국유사≸가 인용된 사례가 있지만, 이 또한 간행본인지 필사본인 지에 대한 판단은 쉽지 않다. 조선 초의 고간본을 초간본으로 보기에는 여러 문제가 있다. 闕字와 避諱 代字 등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 다. 조선 초기 고판본에도 궐자의 사례가 여러 차례 보인다. 파른본에는 글자를 새기지 않은 채 빈칸으로 남겨둔 것이 왕력 및 권1과 권2에서 18곳에 이른 다. 고려 혜종의 휘 武자를 대신해서 虎 자를 쓴 사례와 성종의 휘 治자를 대신 해서 理자를 쓴 사례는 대단히 많다. 이처럼 고려시대의 피휘법이 적용된 사례가 많은 것은 고려시대에 이미 존재했던 초판본으로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피휘법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도 가끔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초기 重刊時에 고쳐졌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 초에 간행된 고간본 ≷삼국유 사≸는 석남본, 송은본, 니산본, 조종업 본, 범어사본, 파른본 등이 있다. 그러나 석남본은 현재 그 소재가 불명이고, 니산본과 조종업본은 권2와 권3만이 전해온다. 따라서 왕력과 권1 권2의 파른본이 갖는 의미는 더욱 크다. 조선 초기 간본 중 왕력과 권1의 경우는 오직 파른본 만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파른본의 가치는 더욱 큰 것이다. 왕력은 한국 고대 왕위 계승에 관한 사료를 전해주고 있기에 중요한데, 파른본 왕력의 인쇄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그리고 임신본 ≷삼국유사≸ 기이편 고조선조의 桓國 운운은 원래 고판본의 桓因의 因을 國으로 잘못 새긴 것이었 음은 파른본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파른본에는 桓因의 因이 그 이체자인 ᨳ 으로 되어 있다. 비록 한 글자이 지만 단군신화와 관련된 오랜 논쟁의 일단을 종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uniqu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Pareun Edition of Samgukyusa by comparing it with other editions of the work. The name of the author, Ilyeon, is not included in Books 1, 2, 3 and 4 of Samgukyusa: only volume 5 has the name written in it. Considering the fact that Ilyeon’s posthumous title for the work, Bogak, is not used with the author’s nam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Samgukyusa was completed between 1285, when Ilyeon became the chief priest of Ingaksa Temple and master of the King at the age of 79, and 1289, when he attained nirvana at the age of 84. There are two additional remarks by Mugeuk, Ilyeon’s disciple, in the original Samgukyusa. These notes are distinguished from Ilyeon’s text by Mugeuk’s name written under them. It is believed that Mugeuk published and popularized Samgukyusa, and if so, his is likely the first edition.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evidence that Samgukyusa was published in the Goryeo period. Even though a book published in the 1 0th year (1 361 ) of the King Gongmin of Goryeo quotes from Samgukyusa, it is not easy to elucidate whether the quotation from Samgukyusa came from a printed copy or a handwritten one.There are many problems in considering the Old Edition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first edition of Samgukyusa. Omitted characters and alternative characters, used to avoid using the letters of monarchs’ names, ar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roblems. Omitted letters are widely found in the Old Edition. In the Pareun Edition, in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of the ‘Wangryeok’ (‘A Chronology of the Kings’) chapter, there are eighteen blank columns in which no characters are engraved. There are several cases in which ‘虎’ is used to replace the name of the King Hyejong of Goryeo, and ‘武’ and ‘理’ in place of ‘治’ in the name of King Seongjong of Goryeo. These widely found substitutions suggest that this edition of Samgukyusa inherited the style of a first edition which already existed in the Goryeo period. Characters of rulers’ names are occasionally found in the edition, and these characters were probably fixed when the book was published for the second time in the early Joseon period. Different copies of the Old Edition of Samgukyusa exist. However, the Seoknam Edition is missing and only the second and third volumes of the Nisan and Jo Jong-eop Editions are still extant. Therefore, the Pareun Edition with the ‘Wangryeok chapter’ and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has a great significance. The Pareun Edition is the sole extant copy of Samgukyusa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complete with the ‘Wangryeok’ chapter and the first volume. The ‘Wangryeok’ chapter contains a great deal of records concerning royal succession in the ancient Korean kingdoms, and is of great historical value. The ‘Wangryeok’ chapter of the Pareun Edition is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The Pareun Edition can also be used to confirm the mistake in the Imsin Edition, where the character ‘國’ is mistakenly substituted for ‘因’ in the word ‘桓因’ in the ‘Giyi’ (‘Mythology’) chapter of the ‘Gojoseon’ article of the Old Edition. In the Pareun Edition, ‘因’ in ‘桓因’ is engraved as ‘ᨳ ’, which is one of many variant forms of the character ‘因’. This one character is important enough to end the controversy of many decades concerning the myth of Tan-gun s birth.

목차

. 머리말
2. ≷삼국유사≸의 찬자와 편찬 시기
3. 王曆篇의 문제
4. ≷三國遺事≸ 初刊本의 문제
5. 여러 고판본과 파른본
6.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현(Kim, Sang-Hyun). (2013).삼국유사 고판본과 파른본의 위상. 동방학지, 162 , 3-27

MLA

김상현(Kim, Sang-Hyun). "삼국유사 고판본과 파른본의 위상." 동방학지, 162.(2013): 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