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초기 단군 인식과 ≷삼국유사≸ 간행

이용수 340

영문명
The Perception of Dan’gun in the Early Days of Joseon and the Publication of Samguk Yusa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도현철(Do, Hyeon-Chul)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2집, 29~5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조선초기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파른본 ≷삼국유사≸가 소개되 었다. 유교 국가 조선에서 불교사 입장 에서 정리된 ≷삼국유사≸를 간행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표였다. 고려후기에 몽골의 침입으로 국가적 위기를 맞았고, ≷삼국유사≸와 ≷제왕운 기≸를 통하여 국가의 시조로 단군을 인식하게 되었다. ≷삼국유사≸와 ≷제왕운 기≸는 고조선을 상정하고 단군을 우리 역사의 시조로 설정하였다. ≷삼국유사≸ 는 고조선에서부터 시작하여 삼한과 삼국, 고려로 이어지는 역사 계승을 제시했다. 당초 단군은 평양과 황해도 구월산 지역의 민간 신앙적 수호신으로 이해하다가, 국가시조, 역사공동체의 시조로 인식하게 되었다. 고려후기에 단군을 역사의 시원으로 파악하기는 하지만, 신화적이고 설화적인 내용을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는 유교의 합리사관으로 인하여 유학 자들은 단군을 사실로 인정하는데 주저하였다. 유교 국가인 조선은 나라의 시조인 단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군부터 조선에 이르는 역사를 서술하고 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교사관에 의한 연구를 통해 단군을 역사상의 인물로 재발견하 였고, ≷동국사략≸과 ≷삼국사절요≸를 완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삼국유사≸의 간행이 필요했다. 역사서를 편찬하기 위해서는 근거가 되는 기본 자료의 확보가 필수 적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삼국유사≸ 는 태조 3년 무렵에 ≷삼국사기≸와 함께 경주에서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말하자면, 조선왕조는 단군 인식과 한국상고사 인식의 확대로 고조선으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한국 역사를 계통적으로 이해하는 통사체계를 구상하 였고 이 과정에서 ≷삼국유사≸를 간행하 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a new edition of Samguk Yusa,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printed and published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presen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This article examines why a Confucian state like Joseon bothered to publish Samguk Yusa, a history book which was written from a Buddhist perspective.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Mongol forces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ollowing dynastic crises prompted the Goryeo people to a new interest in historical entities such as Dan’gun (perceived as the one and only founder of the people of the peninsula) which is reflected in the publication of history books like Samguk Yusa and Je’wang Wun’gi. The people’s new appreciation of certain historical figures eventually led to a formation of a national pride. Goryeo, which was being forced to establish a new kind of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Yuan Empire, a relationship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its former relationships with the Chinese dynasties, and the Goryeo dynasty and its people were in need of a new identity, and also a new historical perspective from which to view their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Empire. Samguk Yusa and Je’wang Wun’gi describe the history of Gojoseon and establish Dan’gun as the person who literally bega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Samguk Yusa explains that Korean history began with Gojoseon, which was followed by “Sam Han” (‘the Three Hans’), the Three Dynasties, and finally Goryeo. Previously, Dan’gun was believed in folklore to have been just a kind of regional deity from the Pyeong’yang area and the Mt. Guweon-san area of what is now Hwang’hae-do province, but he later came to be worshipped as the ‘founder of the state,’ and the originator of the historical community in which the Goryeo people lived. Even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when Dan’gun gained this new status as the founder of the Goryeo people, Confucian scholars, who believed in reasoning and did not embrace folklore-based stories with mythical properties, hesitated to accept Dan’gun as a historical figure and as a person who really existed. Based upon their understanding of Dan’gun, the people of the Confucian state of Joseon recorded the history from Dan’gun to Joseon, and in doing so tried to validate and justify the relatively young dynasty’s foundation. Using Confucian-based studies and analysis, they tried to discover the true nature of Dan’gun as a real person, and as part of this effort, Joseon writers completed Dong’guk Sa’ryak and Sam’guk-sa Jeol’yo. Samguk Yusa was needed, as it was vital to secure basic primary data for historical compilation. It is presumed that Samguk Yusa was published in the Gyeongju area around 1394, in the third year of King Taejo’s reign, along with Kim Bu-shik’s Samguk Sagi. In other words, the people of Joseon imagined a Korean history that began with the time of Dan’gun and continued through to the time of Joseon, and published Samguk Yusa as part of the effort to prove this. The establishment of Dang’un as the founder of the Korean people was only possible because of the people’s already widened understanding of Dan’gun and the anci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목차

1. 머리말
2. 단군 인식과 역사 인식의 확대
1) 국가 의식과 단군 인식
2) 원과의 교류와 역사 인식의 확대
3. 한국 상고사 인식과 ≷삼국유사≸ 간행
1) 단군의 역사화와 한국 상고사 인식 확대
2) ≷삼국유사≸ 간행과 한국 통사 체계의 확립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현철(Do, Hyeon-Chul). (2013).조선초기 단군 인식과 ≷삼국유사≸ 간행. 동방학지, 162 , 29-57

MLA

도현철(Do, Hyeon-Chul). "조선초기 단군 인식과 ≷삼국유사≸ 간행." 동방학지, 162.(2013): 29-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