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형상의 ≷지령록≸ 제6책에 쓰인 ‘평조 ‧ 우조 ‧ 계면조’의 의미
이용수 41
- 영문명
- The Meanings of Pyoung-jo, Woo-jo and Gyemyoun-jo in Lee Hyoung-sang s Jiryoungrok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김진희(Kim, Jin-Hee)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3집, 127~15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우‧계면이라는 俗樂의 삼 악조는 이형상의 민족악부관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된존재이다. 본고에서는 이형상이 이해한 평조‧우 조‧계면조의 삼 악조가 지닌 특징을 살펴보고, 이형상의 ≷지령록≸ 제6책에서 그러한 개념이 정합성을 지니고 사용되었는가 하는 점을 따져보 았다.
전반부에서는 삼 악조의 風度形容과 그 음악적 특성을 살폈다. 삼 악조에 대한 병와의 이해 에는 일반적인 이해와 유사한 점도 있었고 상이한 점도 있었다. 평조에 대해서는 유사한 편이었던 반면, 계면조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계면조는 슬픈 느낌을 주는 것으로 이해된 반면, 병와는 이에 대해 호탕한 풍격을 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삼 악조의 음악적 성격에 대한 병와의 이해와 관련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속악의 평조와 계면조는 선법 명으로서 서양음악의 장조‧단조와 각기 유사한 것으로 이해되나, 병와의 평조와 계면조는 선법상 구별되지 않으며, 다만 계면조의 조가 더 높다는 특징만을 지닌다.
후반부에서는 「동방아속악」의 한문시가 및 「 금속행용가곡」의 국문시가들이 삼 악조에 실리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두 경우 모두 평조‧우조‧ 계면조로 갈수록 시가의 정서적 강도가 더 강해 짐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앞서 본 삼 조의 풍도형 용이나 음악적 성격과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 었다. 병와가 이해한 삼 조는 평조에서 계면조로 갈수록 기준음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그 느낌 또한 더 강렬해지는데, 이러한 악조의 특성에 따라 시가가 안배되었음을 보았다.
이상에서 볼 때, ≷지령록≸ 제6책에 제시되어 있는, 평조‧우조‧계면조에 대한 병와의 이해는 일반적인 시각과 상이한 면이 존재하기는 하되, 적어도 병와의 저작 내에서는 정합성을 지닌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54)
Pyoung-jo, woo-jo and gyemyoun-jo, the three musical ton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ed an essential role in establishing Lee Hyoung-sang s nationalistic theory of music and poetry.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way Lee Hyoung-sang perceived these three musical tones, considering the consistency of the usage of the terms in his book, Jiryoungrok.
In the first half of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musical tones were discussed. Lee Hyoung-sang s understanding of those tones contained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 compared to the general understanding. He perceived pyoung-jo in the similar way to the public, but he used gyemyoun-jo quite differently; gyemyoun-jo was generally considered as a tone that evokes a sad feeling whereas Lee Hyoung-sang described it as a vigorous tone. Such a difference was caused by Lee Hyoung-sang s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tones. Pyoung-jo and gyemyoun-jo are generally understood as similar to the major and the minor tone of the western music,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Lee Hyoung-sang neglected the tonal difference of pyoung-jo and gyemyoun-jo, and he only accepted the difference in k ey;
gyemyoun-jo is a transposed pyoung-jo in his work.
In the last half of this article, the lyrics of the three musical tones, contained in Lee Hyoung-sang s Dongbang-asokak and Geumsok-haengyong-gagok, were examined. The emotion of the lyrics was most intense in pyoung-jo, followed by woo-jo and gyemyoun-jo. Such a phenomenon coincides with Lee Hyoung-sang s understanding of the three musical tones, which was discussed earlier in this article; pyoung-jo was composed in the highest key and evoked the most intense feeling, followed by woo-jo and gyemyoun-jo in Jiryoungrok.
In conclusion, Lee Hyoung-sang s understanding of the three musical ton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ains different aspects than general understanding, but at least it was realized consistently throughout his own works.
목차
1. 서론
2. 「동방아속악」 소재 평조 · 우조 · 계면조의 風度形容
3. 「동방아속악」 소재 평조 · 우조 · 계면조의 음악적 성격
4. 「동방아속악」 소재 평조 · 우조 · 계면조에 실린 한문시가의 성격
5. 「금속행용가곡」 내 악조별 시조의 주제
6.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족’에서 ‘인민’으로 가는 길 : 고정옥 ≷조선민요연구≸의 보편과 특수
- 일제강점기 오사카 조선촌의 식문화
- ≷일신수필≸ 서문, 청나라 중화론을 위한 학문론
- 일제강점기 경성의 중국인 거리와 ‘魔窟’ 이미지의 정치성
- 중국 조선족의 독일 이주 연구
- ≷周易≸ 蹇卦의 원의와 유교 경전화 과정 1) :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周易≸ 六十四卦 卦爻辭의 형성과 전개 Ⅰ
- 경성제대 정치학 강좌와 식민지 조선에서의 의미 : 戶澤鐵彦과 奧平武彦의 사상 분석을 중심으로 *
- 국외 한국학 관련 커리큘럼 분석 * - 프랑스 주요 대학의 한국학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
- 이형상의 ≷지령록≸ 제6책에 쓰인 ‘평조 ‧ 우조 ‧ 계면조’의 의미
- 국민대표회의 폐막이후 창조파의 동향
- 중국’을 회의하며 계몽하다 -중국문학사 연구자 첸리췬(錢理群) * -
- 정주와 이주사이의 동아시아: 유동하는 삶‧문화‧정체성- 특집 취지문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