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國史記≸ 屋舍條에 보이는 唐瓦의 실체 - 문헌적 접근 -

이용수 107

영문명
The True Identity of Dangwa as stated in ≷Samguksagi≸ Oksajo - By literature approach-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동주(Lee, Dong-Joo)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4집, 85~10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三國史記≸ 屋舍條의 주된 골자는 사치의 규제이다. 그런데 규제 품목 중 唐瓦가 보인다. 이기와는 신라의 최고위 귀족인 진골조차도 사용 하지 못하는 것이어서 그 실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였다. 지금까지 축적된 당와의 실체에 대한 견해는 막새기와설, 암막새설, 녹유기와설 등이 제기된 상태이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당와의 실체에 대해 상당부분 근접한 견해가 제기되었다. 본고는 여기에 덧붙여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과 한국의 문헌에 散見되는 당와를 정리해 보았다. 宋의 宋敏求가 찬한『長安志』에는 元 의 李好文이 보강한『長安志圖』가 입전되어 있다. 그런데 이 문헌에서 당와라는 용례가 확인되어 주목된다. 여기에는 당와가 묘사되어 있는데, 그 내용이 현재 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녹유기 와와 흡사하다. 녹유기와는 일반기와와는 달리 저화도의 유약을 기와에 발라 재벌구이를 통해 생산된다. 표면이 유리질이므로 건물의 지붕에 올려졌을 때 햇빛에 반사되어 건물의 경관이 한층 더 아름다워진다. 그러나 이 기와는 만들기가 번잡하고, 공력이 일반 기와보다 많이 들기 때문에 사치스런 건축부재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한 흐름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확인된다. 특히 조선시대의 문헌인 ≷朝鮮王朝實錄 ≸에는 사치풍조를 일소하는 차원에서 당와의 제작을 만류하는 기사가 보인 다. 이 때도 당와가 사치와 관련된 건축부재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흐름은 ≷삼국사기≸ 옥사조의 규제 조항과 맥락을 같이한다. 이 밖에도 ≷承政院日 記≸, ≷萬機要覽≸ 등의 문헌에서도 그 명칭이 확인된다. 문헌의 여러 정황을 조합하면 당와의 실체는 녹유기와가 분명해 보인다. 다만 녹유기와란 명칭은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용되지 않아 그대로 사용하기에 위화감이 없지 않으나, 학계의 소통 차원에서 그대로 존중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major flow of ≷Samguksagi(三國史記)≸ Oksajo(屋舍條) is the regulation of architecture. And ‘Dangwa’(唐瓦) is in there. Till now, various opinions were suggested on the true identity of dangwa such as ‘maksaegiwa’, ‘ammaksae’ and ‘nokyoogiwa’. Recently, an opinion, which is quite close to the true identity of dangwa, has been suggested. This paper adds the statements on dangwa as seen in various literatur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ill now. ≷Janganjido(長安志圖)≸ was authored by Yi Hao-wen(李好文) of Yuan(元) by complementing the ≷Jananji(長安志)≸ authored by Sung Min-qiu(宋敏求) of Sung(宋). It was possible to find a mention on dangwa in ≷Janganjido≸. The explanation on dangwa in this literature is ‘nokyoogiwa’. Nokyoogiwa is different from general roof tiles by having a function of decorating the outlook of a building by applying low-firing temperature glaze on roof tile. It was acknowledged as a representative luxurious building material because it requires lot of complicated effort to make. Such trend is also found in Joseon period. There is an article in ≷Joseonwangjosillok(朝鮮王 朝實錄,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issuading the manufacturing of dangwa to restrict luxurious trends. It implies that dangwa has close relation with luxury. It is in the same context of regulating article in ≷Samguksagi≸Oksajo. Mentions on dangwa are also found in other literatures such as ≷Seungjeongwon Ilgi(承政院 日記)≸ and ≷Mangiyoram(萬機要覽)≸. When all these situations in the literatures would be combined, it is clear that the true identity of dangwa is ‘nokyoowa’. Though it is a bit difficult to use the name ‘nokyoowa’ retroactively to ancient period, the name will continue to be used for the sake of communication within academic society.

목차

1. 머리말
2. 기왕의 성과
3. 문헌에 보이는 唐瓦
4. 唐瓦의 실체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주(Lee, Dong-Joo). (2013).≷三國史記≸ 屋舍條에 보이는 唐瓦의 실체 - 문헌적 접근 -. 동방학지, 164 , 85-106

MLA

이동주(Lee, Dong-Joo). "≷三國史記≸ 屋舍條에 보이는 唐瓦의 실체 - 문헌적 접근 -." 동방학지, 164.(2013): 85-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