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토지소유의 욕망과 절제 * : 土地論을 중심으로

이용수 112

영문명
The desire of land possession and the moderation in it during the Goryo Dynasty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박경안(Park, Gyong-Ah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4집, 107~1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토지소유의 오랜 관행과 더불어, 王土意識은 농본주의에 토대를 둔 유교적 정치이념에 따라 與民共利의 원칙과 궤를 같이 하면서 樵牧, 給地, 給田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고려왕조는 원칙적으로 山林川澤의 私占을 막고 있었으나 왕도정치의 이념에 부합될 경우에 量給과정을 거쳐 折收를 허용하고 있었다. 절수에 의한 토지소유 기회가 제한된 가운데 豪强을 중심으로 개간 또는 탈점이 진행되었으나, 修己治人을 지향하는 벼슬아치와 業農으로서의 존재는 병존할 수 없는, 바람직하지 않은 일로 인식되었다. 그런데 왕도정치의 이상에 의한 仁政의 실시는 올바른 經界를 담보한 것으로서, 경계는 量田 制賦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그 기준은 단순한 지리적 境界를 넘어 正과 不正의 도덕적 관점을 통한 ‘分田制祿’의 원칙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李齊賢은 고려의 田制가 君子에 대한 世祿의 의미는 갖추었다고 할 수 있으나 小人(농민)을 배려하는 제도적 장치는 당초부터 없었음을 비판 하였으며, 이후 人欲에 의한 토지겸병이 확대되고 경계가 무너지는 가운데 ‘公’과 ‘私’의 문제로 발전하였다. 한편 여말에 이르러, 私田의 폐해로 지적된, 田民의 奪占과 그로 인한 국가 조세수입의 감소, 仕者世祿의 부족 나아가 농민몰락의 저변에는 齊民지배의 틀을 벗어난 불법적, 권력형 농장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趙浚은 ‘至公分授之田’이 었던 사전이 私有化된 것은 奸兇之黨, 奸猾에 의한 것이라고 하였으나, 鄭道傳은 自耕을 명분으로 한 力多者, 勢强者에 의한 借耕의 폐해로 판단하였다. 이처럼 당시 ‘公, 私’의 개념은 주자성 리학에서의 天理와 人欲의 대립이라고 하는 도덕적 관점이 내재된 것이었다. 이에 따라 天人論에 의거하여 자연재해를 天 譴으로 인식하던 儒者들은 人欲을 절제하여 ‘至 公’에 의한 正經界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하였 다. 이를테면 李穡은 겸병문제도 祖宗田制의 회복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본 반면 조준을 비롯한 역성혁명세력은 조종전제가 이미 무너졌 으므로 人欲의 근거인 私田의 혁파를 주장하였 다. 그러나 후자들 가운데서도 정도전은 公收된 사전의 국가적 관리를 통해 ‘至公’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본 반면에 대부분의 사대부들은 사전의 재분배를 통한 均田意識의 회복을 주장하였다. 결국 군자와 더불어 소인에 대한 우대를 통해 대토지지배를 억제하고자 했던 이제현, 정도 전의 구상은 무산되었다. 이에 따라 여말의 節制 論은 賦稅적 측면에서 均稅에 초점을 맞춘 사전 개혁에 그치게 되었고, 소유권의 제약을 통한 개혁이 좌절되면서 山林川澤의 점유는 점차 관행 화되어 갔으며 그 결과 自耕을 바탕으로 한 民 田型 농장의 발전이 있었다.

영문 초록

In spite of longtime awareness of land ownership, the spirit of Royal domain(王土意識) became another practice under the international order of investiture system. And it was represented in gathering firewood, farming livestock, providing for cultivating lands and distributing farmlands for officials, along with the principle of carving a melon with the people(與民共利) by the Confucian ideology. The state prohibited the personal occupations of wastelands but allowed in case of fitting in with the ideology of the Rule of Right(王道政治). Owing to the restricted legal occupation of those, the wealthy and influential acquired lands by reclamations or taking another s lands in case of obligation defaults. But holding the farming land as a government official was appreciated undesirable. The accomplishments of benevolent politics(仁政) in order to pursue an ideal politics by the Rule of Right requires properly fixed division(正經 界). And the standard of that division seems to be a principle about both land providing and harvest distribution(分田制祿) based on moral point of right or unright view beyond the geographical boundary. In this connection, Lee Jae-hyon(李齊賢) found fault with the Dynastic land distribution system because it has only the annual payments for the Rule(the Noble, 君子) without regarding for the ruled(the producer or the peasant, 小人). Actualy with the serious increase of the illigal farmland amalgamations, such problem brought arguments among the new noblity (新興士大夫) around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 public interest(公) and the privite one(私) in connection with the division. At the end of the Dynasty extensive dispossession of peasants and their farmlands caused the decrease of government internal revenue, the lack of annual payments to officials and the collapse of another peasants. Then most of the rule blamed for the harmful effect of the distributed farmlands for officials. But behind those state of affairs were there illigal and power related farmlands having been swerved from the individual domination system. About this, Jo Jun(趙浚) described the reason why highly evenhandly distributed lands are privatized as the result of human greeds. But Jung Do-Jyon(鄭道傳) made a judgement that the privatizing is due to the structual factors caused by tenant farming in the name of self cultivation. In those days the perception between the public interest and the privite one includes moral viewpoint which is opposing logic between natural principle(天理) and human selfish interest(人欲) derived from the new Confucianism. Consequently the pursuit of public interest in division was just connected with viewpoints surrounding the moderation in human selfish interest. At that time most of Confucianists who comprehended natural disasters as a punishment of Heaven belived the ancestral land system as the alternative to pursue under the logic that the issue of division suould be resolved from the highly public point of view. For instance Lee Saek(李穡) believed that those ploblems caused by the expension of farmlands through the disspossion could be resolved by recovering the system, whereas the Dynastic revolutionaries thought that the current land distribution system(私田) should be perished in order to restore the utmost publicness(至公) as the system had already collapsed down. Over the specific action, Jung Do-Jyon(鄭道傳) regard the withdrawal of distributed lands as an accomplishment of the utmost publicness but most of the ruler believed that the recovery of fair land distribution spirit(均田 意識) is to accomplish it. Eventually, the original plan of Jung Do-Jyon was frustrated, having been willing to control the large scale farming through respecful treatment for both the rule and the ruled. And the reformation of those days ceased to the rebuilding of current land distribution system focused on equal taxation. After the reform related to land ownership is discouraged, the occupation o

목차

1.머리말
2. ‘與民共利’와 折收
1) 王土의식과 ‘與民共利’
2) 折收와 토지의 소유
3. 兼倂과 유교적 자연관
1) 仁政의 추구와 經界
2) 人欲의 확대와 토지겸병
3) 겸병의 폐해와 天譴
4. 經界不正과 節制論
1) 復祖宗田制論
2) 復先王均田制論
3) 復古者田制之正論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안(Park, Gyong-Ahn). (2013).고려시대 토지소유의 욕망과 절제 * : 土地論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64 , 107-137

MLA

박경안(Park, Gyong-Ahn). "고려시대 토지소유의 욕망과 절제 * : 土地論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64.(2013): 107-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