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20∼30년대 民族文化運動과 延禧專門學校

이용수 164

영문명
Nationalist Culture Movement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in 1920~30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도형(Kim, Do-Hyu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4집, 191~22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말 일제 하 민족운동에서는 서양의 근대문 명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정신적 차원에서 민족문 화를 계승하여 이와 결합하였다. 민족문화운동은 이념을 달리하는 민족운동 진영에서 각각 제기되 었다. 국외에서는 박은식, 신채호 등의 민족주의 역사학자들의 국혼론, 국수론이 형성되었고, 국내에서는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전개된 부르주 아세력의 문화운동에서도 민족문화운동을 통한 신문화 건설을 주장하였다. 또한 사회주의 진영 에서도 민족문화를 등한시하지 않았다. 연희전문학교에서는 민족운동의 민족문화론을 교육 공간에서 하나로 결합하여 학풍으로 형성하였다. 연희전문의 학풍은 1930년대 초반, “東西古近 思想의 和衷”으로 표명되었다. 서양의 근대학문을 수용하면서도 이를 동양, 조선의 고유사상과 화충, 융합하였던 것이다. 이런 학풍은 한국의 문화적 능력을 인정한 선교사를 보호 막으로 하여, 정인보, 최현배, 백낙준 등이 주도 하였고, 사회주의 역사학자 백남운도 가세하였 다. 그들은 연전에서 조선어, 조선 문학, 조선역 사를 가르쳐 그 속에 담긴 ‘얼’을 갖게 하였고, 또한 교외의 민족문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하였다. 특히 신간회 해소 이후 활동 공간이 축소된 부르주아세력의 신문화 운동을 이끌어가는 힘이 되었다. ‘화충’에 의한 민족문화연구의 전통은 일제말 민족주의를 새롭게 모색하는 발판이 되었고, 또한 해방 후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한 학문적 근거가 되었다.

영문 초록

The Nationalist Movements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simultaneously received Western modern culture and combined it with inherited National Culture(minjok munhwa). Nationalist Culture Movements(minjok munhwa undong; 民族文化運動) were carried out respectively by various Nationalist Culture sects with varying ideological persuasions. Abroad, the Kuk Hon Ron( 國魂論) and Kuk Su Ron( 國粹論) of the Nationalist historians such as Park Eun-Sik and Shin Chae-Ho were established. Domestically, the Cultural movements of the bourgeois camps, which centered around the Dong-A Ilbo, called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culture through Nationalist Culture Movements. The socialist camps did not turn their backs on National culture either. At Chosen Christian College(C.C.C., 延禧專門學校), the National Culture discussions of the Nationalist Movements were combined within the educational sphere into a school of thought. C.C.C. s academic tradition was enunciated in the early 1930 s as the Convergence of Eastern & Western, Ancient and Modern Thought (“東西古近 思想의 和衷”). Even while Modern western scholarship was being accepted, this was being mixed and fused with traditional Eastern and Chosun thought. Such academic traditions were spearheaded by Jung In-Bo, Choi Hyun-Bae, and Baek Nak-Jun, with missionaries that had acknowledged Korea s cultural prowess serving as their shields. Socialist historian Baek Nam-Woon also supported them. Together these individuals taught Chosun language, Chosun literature, and Chosun history at C.C.C, instituting the Eol (얼, spirit) inscribed in these topics, and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Nationalist Culture Movements. They were especially important as the guiding force that led the New Culture Movements of the bourgeois camps, after Japanese censorship increasingly restricted their activities following the forced disbandment of the Shinganhoe. The tradition of researching National Culture with a focus on fusion and harmony served as a foothold with which to seek a new nationalism in the latter par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lso served as the academic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 after liberation.

목차

1. 머리말
2. 1920년대 민족문화운동과 연희전문 학교의 민족교육
1) 1920년대 민족문화운동의 두 계열
2) 1920년대 연전의 민족문화 연구와 교육
3. 연희전문학교 학풍의 정립: ‘東西古 近思想의 和衷’
1) 1930년 전후의 민족문화운동과 연전
2) ‘동서 화충’의 연전 학풍 정립
3) 정인보의 민족주의 역사학과 朝鮮 學運動
4) 白南雲의 민족주의적 경제사학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형(Kim, Do-Hyung). (2013).1920∼30년대 民族文化運動과 延禧專門學校. 동방학지, 164 , 191-227

MLA

김도형(Kim, Do-Hyung). "1920∼30년대 民族文化運動과 延禧專門學校." 동방학지, 164.(2013): 191-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