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려향약(草廬鄕約)』을 통해본 마을공동체 내 경조사(慶弔事)의 예(禮)

이용수 76

영문명
Etiquette for Congratulation or Condolence of Village Communities Described in Choryeohyangyak(草廬鄕約)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최배영(Choi, Bae-young)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7집, 215~25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후기 유학자이자 예학자였던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 1607-1684)의 저술『초려향약(草廬鄕約)』에 대한 문헌고찰을 시행한 연구이다. 이는 오늘날 많은 지자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활동의 핵심가치를 우리 고유의 생활문화에서 찾는 데 주안을 둔 것이다. 마을공동체 활동의 근간(根幹)으로서 향약의 강령과 경조사(慶弔事) 예(禮)의 연계성을 연구하여 마을공동체 내 공공의 행복을 도모하는 복지 증진에 필요한 핵심가치를 규명하고 그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데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유태의 생애와『초려향약』의 구성 성격을 살펴본 후 마을공동체 내 향약의 강령과 경조사의 예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유태는 충청오현(忠淸五賢)의 한 사람으로 당시의 사회에 많은 영향력을 끼친인물이었다. 그는 자신의 안위나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 마을공동체 내 신분과 계층을 초월해 강학(講學)과 교육(敎育)의 중요성을 간파하였으며, 시의성(時宜性) 있는 향약의 정립과 보급을 통해 전국적으로 사회의 교화와 안정을 도모하였다. 이 같은 그의 의지는 마을공동체의 자치적 성장과 결집에 필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둘째,『초려향약』은 향약의 총칙(總則)과 범례(凡例), 향약문(鄕約文), 회집독약법(會集讀約法), 사창법(社倉法), 몽재훈계(夢齋訓戒), 학교모범(學校模範), 택사양사지규(擇師養士之規), 재규(齋規), 학궁게시(學宮揭示), 육예(六藝), 연영원(延英院)에 관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초려향약』의 구성은 위아래가 함께 향촌 조직의 내실화를 위해 노력하는 개편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으며 공동체에서 약령(約令)의 준수와 실천은 공동체구성원으로서 유대관계를 공고히 하는 질서이자 윤리로 기능하였다. 셋째, 마을공동체 향약의 4대 강령은 인(仁)을 도모하는 덕업상권(德業相勸), 의(義)를 지향하는 과실상규(過失相規), 예(禮)를 실천하는 예속상교(禮俗相交), 지(智)를 발휘하는 환난상구(患難相救)로 집약되었다. 이들 강령은 상호 연계성을 가지며 약원(約員)들이 마을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이정표이자 결속을 강화하는 실천규범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마을공동체 내 경조사의 예를 경사(慶事)와 조사(弔事)로 대별해보면 경사의 상황에서는 존유(尊幼)의 순서에 따라 하례(賀禮)와 사례(謝禮), 초청(招請)과 방문(訪問), 연회(宴會)의 예를 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험 합격, 발령과 승진, 관례, 혼인과 수연 등도 마을공동체가 축하하고 증유하는 길사(吉事)의 예로 이행되었다. 한편 조사의 상황에는 흉사(凶事)와 상사(喪事) 시 조문(弔問)을 하고 장사(葬事)를 도움에 있어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애도의 위로와 부의를 통해 예를 갖추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초려향약』에 나타난 향약의 강령과 경조사 예의 연계성을 토대로 볼 때 마을공동체 내 공공의 행복을 도모하는 복지 증진에 적용되는 핵심가치는 덕업으로서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정서적 측면의 인(仁), 과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정의적 측면의 의(義), 경조사가 발생하였을 때 상호간 협동을 통한 대처와 대인관계 이행에 필요한 규범적 측면의 예(禮), 근심과 재난을 극복하기 위해 소통으로 지혜를 모아 협력하고 지원하는 경제적 측면의 지(智)가 자리하고 있었다. 이는 21세기에 들어 우리 사회가 노력해나가고 있는 마을공동체 만들기에도 활용될 수 있는 핵심가치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 literature review of Choryeohyangyak (草廬鄕約, Village Codes Written by Choryeo) by Yutae Lee (李惟泰, 1607-1684), a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ose pen name was Choryeo, and explores a way to apply the core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culture to today’s community-building initiatives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s. To put it another way,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yangyak (village codes), which is the basis of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and traditional etiquette for congratulation or condolence.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e values necessary to improve the well-being of village communities and to examine what we can learn from those valu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raditional etiquette for congratulations included invitations, visits, banquets, and celebrations for passing civil servant examinations, promotions, coming of age, marriages, and birthdays for old people. Villagers offered their congratulations and gave presents to the person being honored. Secondly, traditional etiquette for condolences were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and deaths. Villagers comforted the victims of disasters or paid their respects to the deceased and helped to make funeral arrangements. In conclusion, the etiquette for congratulation or condolence described in Choryeohyangyak had four different aspects of village community life: emotional solidarity (caring for each other), sense of justice (carrying out their responsibility as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social norms (emphasiz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conomic benefits (sharing knowledge and wisdom and collaborating to solve problems). They were the core value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well-being of village communities and that can be useful in community-building efforts in the twenty-first century.

목차

Ⅰ. 서 론
Ⅱ. 초려 이유태와 향약
Ⅲ. 마을공동체 향약의 강령
Ⅳ.『초려향약』에 나타난 마을공동체 내 경조사의 예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배영(Choi, Bae-young). (2017).『초려향약(草廬鄕約)』을 통해본 마을공동체 내 경조사(慶弔事)의 예(禮). 차문화산업학, 37 , 215-252

MLA

최배영(Choi, Bae-young). "『초려향약(草廬鄕約)』을 통해본 마을공동체 내 경조사(慶弔事)의 예(禮)." 차문화산업학, 37.(2017): 215-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