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례복식에 나타난 조선시대 남성복식의 상관관계 연구

이용수 310

영문명
The study of correlation in the coming-of-age ceremony costume for men in the Josun Dynast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김혜경(Kim, Hye-kyung)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7집, 21~5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관례(冠禮)는 아이가 어른이 되는 예식으로 성인의 도리를 책임 지워 어른이 되었음을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이에 따른 성인으로의 의무와 권리를 부여받는 통과의례(通過儀禮)이다. 남자는 상투를 틀고 관을 씌운다 하여 관례(冠禮)라 하고 여자에게는 비녀를 꼽아쪽을 지워 계례(笄禮)라 했으며, 현대는 성년례라 한다. 우리나라 전통 관례의 특징은 아이 옷을 벗고 어른의 옷으로 갈아입는 복식 변화를통한 성인 인증으로 의례중 복식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관례의 주된 절차는 삼가례(三加禮)로 옷을 세 번 갈아입히는 의식이다. 관례자(冠禮者) 본인이 아이 때 입던 동자복(童子服) 차림으로 식을 시작하여 성인이 되면 입게 될 어른의 평상복→외출복→예복의 순서로 세 번에 걸쳐 예를 갖춘 어른의 성장한 모습으로 복식을 갈아 입혀 실제 아이에서 어른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 성인이 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또한 한 단계씩 복식의 격을 높임에 따라 그에 따른 어른의 책임과 의무를 주지시키 는 직접적이고 심오한 뜻을 담고 있다. 보통 의례 때 사용하는 옷은 1벌의 갖춤 옷으로 대표할 수 있지만 관례 복식은 총 4벌의 복식을 필요로 하므로 신분별은 물론 동일 신분의 복식을 중요도에 따라 자세히 나눠지는 특징을 보여준다. 관례 복식은 신분에 따른 해당 복식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는데, 왕실의 경우에는 동자복을 입고 나와 삼가(三加)에 걸쳐 상복(常服)·조복(朝服)·면복(冕服)의 순서로 갖추고, 사대부의 경우에는 동자복으로 나와 어른의 외출복·상복(常服)·공복(公服)의 순서로 점차 높여 복식을 갖추도록 하였다. 참례자의 복식은 조복(朝服)을 갖추었다. 이를 통해 관례 복식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관(冠)의 경우 갓(笠子),복건(幅巾)<유건(儒巾)<사모(紗帽)<복두(幞頭)의 순서로, 의복의 경우 심의(深衣)<도포(道袍),조삼(早衫)<난삼(襴衫),공복(公服)의 순서로, 신발의 경우도 리(履)<혜(鞋)<화(靴)의 순서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Usually it is represented by matching clothes clothing ritual, but one that is used is because it requires a custom doubles the total of four shows that feature more divided,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abdominal status, as well as by the same identity. Doubles are equipped with custom order of across to the principle that the use of the identity of the doubles, in the case of the royal family has shown refrain from wearing clothing follower (三加) mourning (常服) · jobok (朝服) · mianbok (冕服) If the gentry has gradually increases in the order of the followers of the street dress suit with me for adults and mourning · fasting (公服) was to equip the costume. Chamrye s doubles was equipped with a jobok. Through more than look at the convention doubles if the tube (冠) Gad (笠子), Fujian (幅巾)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배경
Ⅲ. 관례복식
1. 관례복식
2. 상관관계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경(Kim, Hye-kyung). (2017).관례복식에 나타난 조선시대 남성복식의 상관관계 연구. 차문화산업학, 37 , 21-50

MLA

김혜경(Kim, Hye-kyung). "관례복식에 나타난 조선시대 남성복식의 상관관계 연구." 차문화산업학, 37.(2017): 2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