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니 모리슨의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나타난 잃어버린 육체와 주조된 욕망
이용수 88
- 영문명
- Lost Body and Coined Desire Represented in Toni Morrison’s God Help the Child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권은녀(Eun Nyeo Kwon)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25호, 89~11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Toni Morrison points out readers must confront Bride’s traumatic events with problems related to their own selves, meaning that we all live in a broader cultural dialogue, modernity. In terms of modernity, this paper attempts to discover whether the protagonist Bride’s alienation proceeded from signal images within advertisements and the media ever-present in daily lives, resulting in the loss of her real body and her own desire. For Deleuze, only bodies have depth and actual existence and thus are dynamic and self-causing, while desire is caused by bodies. So, this paper tries to define such a loss as a source of alienation from self and others by adopting Deleuze’s key concepts, the structure of Oedipal desire-production. From this vantage point this paper argues that Bride’s bodily deformation into a young girl stems from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er own self and world through encountering other people and their stories. By considering Bride’s bodily change as aesthetic fantasy, I try to draw a parallel between the concepts of Morrison’s rememory and Deleuze’s becoming. In this regard, I highlight the correlation between Bride’s bodily change and Deleuze’s affection as well as a mixture of multiple stories in Morrison and an interaction among selves in Deleuze. Thus, the forces of narratives and new time emerge in Bride’s body just like Deleuze’s maps in every relation from one point to another.
목차
1. 서 론
2. 몸과 욕망의 생산된 이미지
3. 욕망의 회복: 에로스
4. 변용과 새로운 시간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야드 악타르의 『보이지 않는 손』에 나타난 사회경제적 테러리즘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음성문항에 나타난 요청 전략 분석
- The Impact of Extensive Reading 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Reading
- 페미니스트 SF 소설에 재현된 남성 임신: 옥타비아 버틀러의 「블러드차일드」를 중심으로
- 부치 에메체타의 작품에 나타난 결혼의 의미: 노예상태의 메타포
- 과학적 진보와 문학의 과학적 상상력 사이의 대화: 『프랑켄슈타인』, 『모로 박사의 섬』, 『나를 보내지 마』를 대상으로
- 시각 미디어에 의한 트라우마 사건의 재현 문제: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을 중심으로
- 벡퍼드의 『바섹』과 오리엔탈리즘: 관능성과 타자성
- 토니 모리슨의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나타난 잃어버린 육체와 주조된 욕망
- 폴라 보걸의 『뜨겁고 두근거려』에 나타난 권력과 섹슈얼리티의 정치
- 패러디의 양상: 『당신 뜻대로』
- 엘리엇의 『네 사중주』를 통한 “집착, 초탈, 그리고 무관심” 읽기
- 공무원 영어시험의 어휘 부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