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9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장단 기보법

이용수 212

영문명
A Study on Jangdan Notation of the Musictextbook for Middle school by 2009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윤명원(Yoon, Myungwo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4집, 93~12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국악교육에서 쓰이고 있는 국악장단은 크게 기악곡 장단과 성악곡 장단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총 18종에 이르는 2009 개정 중학교 음악 인정 교과서에는 다양한 저자들의 해석을 바탕으로 한 장단의 표기법이 소개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2009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소개된 장단의 종류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각각 어떠한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여 장단 기보법에 대하여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대안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장단의 내용을 검토한 다음, 이와 관련한 국악이론서 등의 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국악 장단의 특징과 표기법이 적당한 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악곡에 소개된 장단으로는 수제천, 종묘제례악, 취타, 대취타, 영산회상 상령산과 타령, 사물놀이와 풍물놀이 등 8종이 있고, 성악곡 장단으로는 민요, 판소리, 시조, 가곡 등 4종이 있는데, 이러한 음악에 사용된 장단으로는 굿거리, 세마치 등 20 여 종의 장단이 소개되었다. 둘째, 장단의 기보로는 정간보(가로/세로), 서양식 리듬보, 정간보+구음, 정간보+부호 등이 사용되었다. 셋째, 국악 장단의 기보에 있어 가장 다종 다양한 방법으로 기보된 장단은 자진타령장단(5종), 자진모리(4종), 대취타(3종), 가곡(3종), 취타(2종), 타령(2종), 삼채(2종), 시조(2종), 중모리(2종) 등의 순으로, 그 표기가 일정하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취타 한 장단 전체 악보를 제시하지 않은 교과서가 있는데, 앞으로 1개 장단 전체가 잘 나타나는 악보를 수록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다섯째, 정악장단에도 2~3개의 장단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 이를 공식적인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국립국악원에서 제시한 국악교육내용통일안 즉 표준안에 장단 기보나 구음 등 용어를 정리하여 통일하되 다양하게 인정하고 이를 교육부 편수자료에도 포함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장단의 종류에 따른 구음과 표기를 정확하게 기록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원칙을 세우고,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장단기보법을 정하였으면 한다.

영문 초록

Jangdan is essential to Gukak with melody & Sikimsae in Korean music tradition. So Rhythmic Pattern, Jangdan has a high value in Gukak education for student also too. Purpose of this article examin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Jangdan as rhythmic pattern through 2009 revisied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 futhermore wondering the ‘Jangdan Notation’ is appropriate to refer as academic origin and bases in this field. After searching for a problems, it would be suggested something solution. The summary is as following. Firstly, there are 8 Jangdans for instrumental music as Sujecheon, Chwita, and so on, also are 4 Jangdans for vocal music as Sijo, folksong, etc. A number of Jangdan reach about 20, as Gutkeori and Semachi and so on. Secondly, a sort of music notation amount to 5 is used to put Gukak subject for music teaching in middle school. It is Jeonganbo, western style rhythmic notation, oral sound with Jeonganbo, musical sign(Buho) with Jeonganbo. It is also two style Jeonganbo, vetical type Jeonganbo and transverse type Jeonganbo. Thirdly, after searching for check how frequently is used ‘Jandang Notation’ in music instruction through textbook, high frequency of ‘Jandang Notation’,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use, no.1 thing is Jajintarhyeongjangdan, and the next is Jajinmorijangdan, Daechwitajangdan, Gagokjangdan, and next ranking etc. Fourthly, In Daechwitajangdan notation, some textbook didn’t contain 1 total cycle of Jangdan, so it was to be lacking something part of rhythm and melody of Daechwita music. It needed to be improved to put wholeness of that. Fifthly, In also Jeongak as folkmusic case, it is to be requested authorization of using neumaral Jangdan playing type. Because, in Jeongak as Folkmusic case, there has a few musical variation of Jangdan.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국악장단 내용
Ⅲ. 교과서의 국악장단 기보방법
Ⅳ.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명원(Yoon, Myungwon). (2016).2009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장단 기보법. 국악원논문집, 34 , 93-123

MLA

윤명원(Yoon, Myungwon). "2009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장단 기보법." 국악원논문집, 34.(2016): 93-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