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한말 교육학 교재 분석

이용수 176

영문명
The Analsis of textbooks of pedagog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발행기관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우영(Kim, Woo Yeong)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제22권 제1호, 61~7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구한말 시기 도입된 교육학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주요 교육학 저서들 속에서 언급된 교육의 의의, 목적을 개괄하고 그 의미를 살펴 보았다. 연구대상으로 삼은 교육학 도서들은 신찬교육학(1896), 교육의 원리(1907), 간 명교육학(1908), 신찬보통교육학(1908) 등이다. 이를 통해 밝혀진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기 교육학 저서에서는 교육의 정의를 크게 광의와 협의로 나누어 보고 있었다. 광의 혹은 자연적인 교육의 의의는 인간을 둘러싼 제반 환경을 말하는 것으로, 가정교육, 사회교육 등을 포괄하는 내용이다. 협의의 교육, 혹은 인위적 교육은 학 교교육을 지칭하는 것으로,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방향을 제시하는 교육이다. 이 시기 교육학 저서들의 대부분은 협의의 교육을 교육이라 지칭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의 목적에 관한 서술을 살펴본 결과, 거의 대부분 개인의 도덕성을 함양 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개인의 도덕성 함양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덕성함양을 통한 국가주의 교육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교육의 실제 행위에 있어 개인의 역할을 말하면서, 그 역할은 어디까지나 국가라는 집단이 개인에게 요구하는 역할이다. 그리고 개인은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그 역할을 충실히 해낼 것을 기대받으며, 이를 위해 교육을 받아야 했고, 이것이 곧 교육의 목적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 of testbooks of pedagog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is period, The meaning and purpose of education were defined in two ways in textbooks, broadly defined education and narrowly defined education. The former definition of education was to say the overall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 including family education, social education. The latter meaning of education was training or artificial education that provides direction to refer to school, it has a clear purpose. Most of the pedagogical textbooks in this period that had been referred to the Education was the latter meaning. Second, a description of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to cultivate personal morality as a goal of almost textbooks in this period. But personal morality cultivation focused on nationalism through the cultivation of personal virtues of education. As a result, written by domestic scholars did in fact was affected by the Japanese translation German Herbart Education.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testbooks of education in the late Choson Dynasty were to translate and introduce japanese textbook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정리
Ⅲ. 개항기 교육학 교과서의 목차 정리 및 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우영(Kim, Woo Yeong). (2016).구한말 교육학 교재 분석. 교육문제연구, 22 (1), 61-77

MLA

김우영(Kim, Woo Yeong). "구한말 교육학 교재 분석." 교육문제연구, 22.1(2016): 6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