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산 정약용의 북한강 하천 체계 인식 연구
이용수 243
- 영문명
- A study on Jeong Yakyong’s Cognition on the Bukhangang River System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임정연(Jeong yeon IM) 김기혁(Ki hyuk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9권 제3호, 40~57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약용의 「산수심원기」에 수록된 북한강 유로의 체계를 파악하고, 「여지고」를 비롯한 이전의 지 리지와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천우기행」과 「산행일기」에 이어 저술된 이 책에서는 북한강에 대해 ‘汕水’라는 전칭을 사용하였다. 산수의 발원지는 금강산 말휘령으로 보아, 이전 지리지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는 정약용이 북한강의 지리적인 범위를 북쪽으로 확대시켰음을 보여준다. 산수의 종점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지 리지에 용진으로 기록된 것과는 다르게 남자주 남쪽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두 강의 모이는 곳에서 자주 발생하는 홍수를 관찰한 내용이 반영된 결과이다. 전체 유로를 기술하는데 이용된 지명들은 이전 지리지를 바탕으로 하였 으며, 내용이 상세할 뿐만 아니라 유역의 장소에 담긴 역사와 취락의 모습까지 담아내고 있다. 『대동수경』의 후속 편 저술을 염두에 두고 편찬한 이 책은 정약용의 지리적인 인식 뿐만 아니라 19세기 고지도와 지리지에서 하천 체 계의 내용이 보완되어 가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method which Jeong Yakyong adopted to systemize the channel of Bukhangang River channel in 「Sansusimwongi」(「汕水尋源記」)”. Beside this book, he wrote two another books, 「Cheonwoogihaeng」(「穿牛紀行」)” and 「Sanhaengilgi」(「汕行日記」)” which was travel records on the river. In 「Sansusimwongi」, he named the river from origin to the end point as ‘Sansu(汕水)’ and he listed the names of mainstream and tributaries of rivers systematically. The origin of river were expanded towards northside and meeting point with Namhangang River was extended to the south comparing with antecedent geography books such as 「Yeojigo」(「輿地考」). Names along the river was written in details. He provided a variety of information along the river with the number of places along the river for explaining the flow of the main stream. Those shows that the context of this book is reflected by his historical thoughts and experience of his travel and he wrote this book for a follow-up of his precedent book 『Daedongsugyeong』(『大東水經』, 1814)
목차
1. 들어가면서
2. 북한강 유역의 저술서 내용
3. 「산행일기」의 수록 지명과 이동 경로
4. 「산수심원기」의 하천 유로 체계
5. 이전 지리지와 비교 분석
6. 요약 및 맺음말
註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