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를 활용한 조선시대 교통로 복원 방법론 연구
이용수 1255
- 영문명
- Restoration of traffic routes in Joseon Dynastry using HGIS(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김현종(Hyun Jong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9권 제3호, 145~1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교통로를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활용하여 복원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복원 지역은 조선시대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 초기까지의 京畿道 廣州府를 대상으로 한다. 古地圖와 地理志 및 程里考의 통정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교통로 복원은 총 7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의 지명DB 구축 및 위치 비정이다. 2단계는 지명 외에 고지도 상의 교차점에 대한 별도의 DB를 구축하고 복원한다. 3단계는 정밀 경로 복원을 위한 근대 지형도의 도로망을 추출한다. 4단계는 일제강점기 도로망을 기반으로 구한말 도로망을 복원한다. 5단계는 조선시대 간선도로를 복원하고, 6단계는 군현지도에서 광주 내의 교통로를 복원했으며, 7단계는 전국지도에서 군현 간 연결망을 복원했다. 본 논문의 교통로 복원과정은 고지도와 근대지도, 지리지, 정리고의 교통 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 DB구축, 관리함으로써 현 위치 비정의 근거를 높이며, 자료간의 연계를 통해 오류를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the traffic routes around Gwangju, Gyeonggi province in Joseon Dynasty period using the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HGIS) accordingly. For this, a variety of relevant literatures, including old maps, gazetteers(地理志) and road guidebooks(程里考) have been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attributes of traffic information. The restoration of traffic routes has been conducted
through seven different stages. Stage 1 has conducted building a place-names database and identified the locations
in old maps, gazetteers, and road guidebooks. Stage 2 has built a separate database for intersections on the old maps in addition to the names of places. Stage 3 has extracted the road network of a contemporary topographical map for a precise restoration of roads. Stage 4 has restored the road network in late Joseon period. Stage 5 has restored the arterial roads in Joseon Dynasty period, Stage 6 has restored the traffic routes in Gwangju district in a county map and the stage 7 has restored connections among counties nationwide.
목차
1. 머리말
2. 연구지역 및 자료
3. 교통정보 분석
4. 교통로 복원 방법
5. 맺음말
註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