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식 삼성설에 대한 불교인식론적 고찰

이용수 310

영문명
Buddhist epistemological contemplation on Trisvabhāva theory of Yogācāra Buddhism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박기열(Park, Ki Yeal)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7輯, 9~53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 유식학파의 삼성설(三性說)은 식의 양태를 변계소집성, 의타기성, 원성실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정의와 함께 이 세 가지 양태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의해서 수습의 과정을 설명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삼성설의 정의와 관계성을 신 유식학파의 입장, 즉 불교 인식론과 논리학의 입장에서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구 유식학파의 ‘실재(vastu)’, ‘식(vijñapti)’ 그리고 ‘유식(vijñaptimātra)’의 개념들을 각각 ‘대상형상성(artharūpatā, viṣayākāratā, viṣayābhāsatā)’, ‘형상(ākāra)’ 그리고 ‘자기인식(svasaṃvitti)’의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한다. 나아가 능취와 소취에 의한 인식결과는 이취의 동일관계 또는 인과관계라는 두 가지의 경우에 의해서 성립하고, 전자의 경우는 의타기성에서 분별이 배제된 식의 양태, 즉 원성실성으로 해석한다. 한편 후자의 경우는 의타기성의 분별이 외계실재로서 현현하는 식의 양태, 즉 변계소집성으로 해석한다. 끝으로 유식(唯識)이란 의타기성에서 변계소집성이 배제된 식의양태(원성실성)를 말하며, 이것은 인식론적으로 하나의 대상형상성을 기반으로 하는 이취의 동일성에 의한 자기인식을 의미한다고 결론짓는다. 따라서 분별 내지 미혹(변계소집성)은 이질적 이취의 인과성에의한 것이기에 자기인식이 아니다. 즉 이것은 바른 인식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 경우의 의타기성은 그 본질적 실재로서의 대상형상성을 기반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consciousness trilogy, the three-nature theory(Trisvabhāvavāda) of Yogācāra-vijñānavādin insists the consciousness is incarnated as the three characteristic forms, that is the imaginary(parikalpita), the dependent(paratantra) and the perfect(pariniṣpanna). The school explains the process of the yoga practice as giving the definition to each conception and making clear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terminologies. The research is to shed new light the defini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nature theory in the light of neo-Yogācāra school represented by Buddhist epistemology and logic(pramāṇa theory). The paper, firstly, tries to interpret the words of reality(vastu), consciousness(vijñapti) and consciousness only(vijñaptimātra) in the early and middle part of period in Yogācāra school with the conceptions of having form of an object(artharūpatā, viṣayākāratā, viṣayābhāsatā), form(ākāra) and self-consciousness(svasaṃvitti) in the pramāṇa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of cognition raised up from the two aspects of appearances, the objective aspect(grāhyākāra, viṣayābhāsa) and the subjective aspect(grāhakākāra, svābhāsa) has the two cases, that is, the identity(svabhāva) and the effect(kāry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spects of form. The paper describes that the former case of relationship is the perfect(pariniṣpanna) as the dependent(paratantra) free from the imaginary(parikalpita), and the latter case of relationship is the imaginary as the dependent appears as being(bhāva) out of consciousness. Finally, It could be translated that consciousness only(vijñaptimātra) being the perfect excluding the imaginary from the dependent in Yogācara into the self-cognition(svasaṃvitti) by the identity relationship of the two aspects of forms based on having form of an object in pramāṇa theory. Over the left, the conception(kalpanā) or the imaginary is not self-cognition because it is made with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two different aspects and is not based on having form of an object as reality(vastu).

목차

Ⅰ. 서론
Ⅱ. 형상과 그것의 본질
Ⅲ. 형상과 외계 존재
Ⅳ. 삼성과 자기인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열(Park, Ki Yeal). (2017).유식 삼성설에 대한 불교인식론적 고찰. 불교연구, 47 , 9-53

MLA

박기열(Park, Ki Yeal). "유식 삼성설에 대한 불교인식론적 고찰." 불교연구, 47.(2017): 9-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