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교 내러티브(Narrative)에 나타난 citta-vīthi

이용수 134

영문명
A Religious Narrative for the Cognitive Process in Theravāda Tradition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김경래(Kim, Kyung Rae)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7輯, 55~8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종교 내러티브에 담긴 아비담마 인식과정 이론을 분석했다. 내러티브는 주로 경전문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지만 경우에 따라 난해한 아비담마 이론을 해설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 실제로 CE 6세기 한역된 해탈도론과 CE 5세기 제작된 앗타살리니(Atthasālinī)에는 복잡한 테라와다 아비담마 인식과정 이론을 쉽고 흥미롭게 해석해주는 망고 내러티브가 등장한다. 테라와다 인식과정 이론은 최대 여덟 단계의 心法으로 구성된다. 즉, 인식대상이 감각기관과 접촉하여 인식과정이 시작되면, 비활동상태였던 바왕가가 전향한다. 그리고 인식대상에 상응하여 인식기관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뒤이어 수용, 조사, 결정, 속행, 등록이라는 일련의 인식단계를 거친 후, 다시 바왕가 상태로 복귀한다. 남방 아비담마 문헌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인식론은 테라와다 아비담마 전통의 고유한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해탈도론과 앗타살리니는 이러한 테라와다 인식론을 흥미로운 내러티브를 사용하여 설명해주고 있는데, 그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성 안에 왕이 잠들어 있다. 그 때 어떤 자가 왕에게 망고를 선물하기 위해 성문을 두드린다. 그러자 성을 지키고 있던 문지기, 왕을 지키고 있던 대신, 왕 옆에서 대기하고 있던 시녀와 부인이 그 망고를 받아 왕에게 전한다. 왕은 그 망고를 먹고 다시 잠에 든다. 두 텍스트는 망고를 중심으로 성안에서 벌어지는 위와 같은상황들을 여덟 개의 인식단계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앗타살리니는 해탈도론에 비해 발전된 형태의 아비담마 체계 를 확립했음에도, 이를 해설해주는 내러티브를 오히려 더 단순화시켜 거친 형태로 전개했다. 이는 해탈도론이 도입한 내러티브가 초래할 수 있는 존재론적인 오해를 경계하려는 의도였다. CE 5세기 주석가들의 이러한 노력은 향후 테라와다 아비담마의 고유한 특징으로 정착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crutinises the abhidhamma technical term “bhavaṅga” in terms of a mango simile. The simile is found in two different abhidhamma texts, namely, the Jié tuō dào lùn or *Vimuttimagga (p.449b18-c08) and Atthasālnī (pp.279-280). The former text is considered to be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early Theravāda abhidhamma text. The latter is the Pāli commentary (Pāli-aṭṭhakathā) on the Dhammasaṅgaṇi, the first abhidhamma treatise. The mango similes found in the two texts are quite similar. Accordingly, a king is sleeping in his palace. His servants are attending to him. Meanwhile, a person comes to the palace to present his mangoes. The king’s servants take them and pass them on to the king. Having awoken and tasted them, the king then goes back to sleep. The two texts compare this simile to each step of the cognitive process “citta-vīthi”, the different steps being: the adverting (轉心, pañca-dvāra-āvajjana); seeing (見心, cakkhu-viññāṇa or dassana); receiving(所受心, sampaṭichana);investigating (分別心, santīraṇa); determining (令起心, votthapana); javana (速心); and, registration (彼事心,tad-ārammaṇa). However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similes in the two texts. The Atthasālini does not describe the term bhavaṅga with the mango simile. In fact, the later Pāli commentarial text became silent when describing the state of bhavaṅga. Meanwhile, the Jié tuō dào lùn stipulates that the situation of the sleeping king is the same as the state of bhavaṅga. These differences imply that the earlier text, Jié tuō dào lùn, could have brought up the ontological misunderstandings by defining the term bhavaṅga.

목차

Ⅰ. 서론
Ⅱ. 궁전의 상황
Ⅲ. 인식과정 이론의 적용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래(Kim, Kyung Rae). (2017).종교 내러티브(Narrative)에 나타난 citta-vīthi. 불교연구, 47 , 55-84

MLA

김경래(Kim, Kyung Rae). "종교 내러티브(Narrative)에 나타난 citta-vīthi." 불교연구, 47.(2017): 55-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