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사 교과서 제2차 세계대전 삽화 자료 비교 분석

이용수 65

영문명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llustration Materials on the 2nd World War in History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지모선(Ji Mo Sun)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9호, 201~253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과서의 구성을 보면 언어적 매체에 의한 텍스트와 시각적 매체의 성격을 갖고 있는 삽화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역사적 사실을 텍스트만의 형태로 표현하려면 여러 문장 진술이 필요하지만, 삽화 자료는 한 장면만으로도 다양한 역사적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히려 더욱 효과적으로 그 의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미국, 독일,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제시된 제2차 세계대전의 삽화 자료의 특성을 비교하고, 그것이 한국 교과서 삽화 자료 제시 방식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삽화 자료의 숨겨진 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것을 통하여 각국이 학습자들에게 심어주기 위한 역사적 인식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제2차 세계대전에 관한 삽화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 교과서 경우 직간접적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서술뿐만 아니라 삽화 자료 역시 빈약한 모습을 보였다. 중국 교과서는 제2차 세계대전을 사회주의로 가는 원인으로 보아 전쟁의 과정 및 소련과 관련된 삽화 자료를 상세히 제시하고 있지만 이념적 한계는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 미국 교과서는 다양한 종류의 삽화 자료를 <활동영역>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삽화 자료를 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과거의 사실적 지식을 암기하는 수업이 아닌 활동 중심의 문제 해결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것을 통하여 승전국의 휴머니즘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독일 교과서는 사실적 삽화 자료를 제시하고 최대한 그 시대의 상황을 자세히 제시하여 철저히 과거에 대한 반성을 하고 있지만 전쟁의 원인의 책임을 베르사유 조약에 일부 전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일본 교과서는 제2차 세계대전에 직접적인 참가국이며 패전국이면서도 철저히 서구 중심적 삽화 자료를 제시하고 제2차 세계대전의 참상 부분에 일본에 원자 폭탄 투하에 대한 피해 사실만을 강조하여 자신도 피해자임을 삽화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한국, 일본, 중국 교과서 삽화 자료 분석에서의 공통점은 전쟁의 전개와 흐름이 철저히 유럽의 국가들을 주축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세 국가 모두 아시아에 속해 있으면서도 아시아권에 관한 삽화 자료는 철저히 배제되어있다. 미국과 독일의 경우 아시아권의 피해 사실 및 태평양 전쟁에 관하여서도 다양한 삽화 자료를 제시하고 있는데 반하여 정작 아시아권 국가들에서는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삽화 자료는 더 이상 텍스트의 보조 자료가 아니다. 역사 학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 학습 자료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학습지는 저자의 숨겨진 의도를 정확히 볼 수 있는 눈을 길러야 한다.

영문 초록

A textbook is composed of the text which is a linguistic medium and illustration materials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a visual medium. While many sentences are necessary if historical facts having many meanings in them are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text alone, illustration materials can contain diverse historical meanings in only one scene; and can rather deliver meanings more eff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llustration materials relating to the Second World War,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South Korea s textbook, illustration materials as well as its description were poor, though the country was influ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war. The Chinese textbook was presenting detailed illustration materials regarding the process of the war and Soviet Union because it regarded the war as a cause of the transition to socialism; but it was not able to go beyond ideological limits. USA s textbook presented diverse illustration materials in its (Activities Area) ; through which it sought problem solution focused on activities, not rote lessons. Also, it was representing circuitously the humanism of a victorious country. As for the German textbook, it was shifting part of the blame for the war onto the Treaty of Versailles, though it was reflecting upon the past thoroughly through providing realistic illustration materials and presenting the circumstances of the period as detailedly as possible. The Japanese textbook presented completely Western-oriented illustration materials, and suggested that Japan was another victim through emphasizing the misery from bombing, although Japan was both a countr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war and a defeated country. A common point found in the analysis of illustration materials in Korean, Japanese, and Chinese textbooks was that description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the war was focused around European countries. Although all of the three countries belong to Asia, illustration materials related to the Asian sphere were completely excluded. In the case of the USA and Germany, various illustration materials concerning the Pacific War and damage on the Asian sphere were also presented, while the very Asian countries neglected the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n that illustration materials are not secondary materials of the text any longer. And, for them to be born again as effective materials aim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learning history, a learner should cultivate insight to see the author s hidden intention correctly.

목차

내용요약
Ⅰ. 서론
Ⅱ. 삽화 자료의 개념과 기능
Ⅲ. 각국 세계사 교과서 삽화 자료의 의미 분석
Ⅳ. 결론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모선(Ji Mo Sun). (2009).역사 교과서 제2차 세계대전 삽화 자료 비교 분석. 역사교육연구, (9), 201-253

MLA

지모선(Ji Mo Sun). "역사 교과서 제2차 세계대전 삽화 자료 비교 분석." 역사교육연구, .9(2009): 201-2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