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말기 회화에 보이는 보자기 장식 화병의 연원과 의미

이용수 1044

영문명
The Origin and Meaning of Vases Decorated with Wrapping Cloth in Late Joseon Paintings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박윤희(Park Yoon hee)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6호, 46~73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는 인간의 근본적인 삶의 이상들을 어떠한 사물의 이름과 형상을 빌어서염원하는 祈福의 吉祥文化를 공유하여 왔다. 이로운 기운을 가까이 하고 나쁜 기운을 멀리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길상과 벽사의 문양 장식들은 하나의 생활 미술로서 우리 삶 속에서 함께 영위되었다. 물건을 싸거나 덮어씌우는 보자기는 사물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정성과 격식을 차리는 역할이 있었다. 여기에다 한자음의 諧音 현상으로 인해 길상의 뜻이 더해졌다. 보자기의 한자음 袱[fú]는 복을 뜻하는 福[fú]와 동음으로서 보자기로 싸다는 뜻의 ‘包袱’은 ‘包福’과 谐音으로 복을 한가득 싼다는 의미를 담게 되었던 것이다. 조선 말에는 골동품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길상의 기물을 함께 모아 그린 책가도 병풍과 기명절지도 등 길상의 그림이 크게 유행하였는데 여러 가지 고동기와 함께 보자기를 두르거나 묶은 형태의 화려한 장식 화병이 그림의 소재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장식을 중국에서는 ‘包袱式’ 문양이라고 하며 중국 청대 雍正朝(1723~1735)에 처음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雍正帝는 궁정에서 황제 진상을 위해 제작하는 도자기의 조형과 문양 도안에 대해서 친히 결정을 하곤 하였다. 福祿을뜻하는 호로병 위에 福을 의미하는 보자기 장식을 더한 包袱式 花甁은 최상의 길상의 의미를 형상으로 빚어내어 황제에게 바치는 최고의 진상품이었다. 淸朝 康熙帝·雍正帝·乾隆帝 3대에 걸친 치세시기 (1662~1795)는 景德鎭 御窯廠이 새로운 품종 개발에 주력했던 때로서 법랑채 오채 분채두채 등의 다양한 도자 제작 기법은 이와 같은 화려한 장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조선 말 회화 가운데 왕실 어른의 장수를 축원하는 궁중 잔치 그림과 죽은 이의 극락왕생을 바라는 불교의 감로탱과 같은 의례용 그림, 책가도와 같은 장식그림 등에도 화병에 보자기를 두른 모습이 종종 나타난다. 제작 시기는 순조 연간 진작의궤의 도설을 비롯해 대개 19세기 중엽 이후의 그림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은 중국 청대 공예품의 유입과 골동 취미의 반영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주로 그림에 나타날 뿐 전세하는 예가 거의 없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당시 조선에서는 중국처럼 보자기 문양을 장식했던 분채와 법랑채의 도자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다는 기술적인 원인이 가장 크다. 보자기 장식 화병 뿐 아니라 그림 속에 등장하는 다른 도자기와 여러 가지 기물들 역시 유사한 양상을 띠고 있다. 따라서 조선 말기 그림 속에 등장하는 보자기를 두른 장식의 화병은 화병과 보자기에 함의된 전통적인 길상의 의미가 그림 속 소재로 재생산되어 민간에까지 확산된 현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그 속에는 인간의 행복에 대한 근원적인 열망 등을 함께 담겨있음을 엿볼 수 있다.

영문 초록

Amongst Late Joseon paintings, such as paintings of palace banquets praying for the longevity of the elders of the royal family, ritual paintings like Buddhist Gamnoteng wishing for the reincarnation of the deceased in paradise, and ornamental paintings such as Chaekkado, images of vases wrapped in bojagi, or wrapping cloth, occasionally appear. The period of production begins during the reign of Sunjo with illustrations from the jinjak uigwe, and they can be observed in pictures after roughly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reflecting the influx of Qing-era Chinese artworks and the connoisseurship thereof, however mainly they appear only in paintings and there are virtually no existing examples. Other than the function of protecting objects, wrapping cloth, which wraps or covers objects, has the additional meaning of good fortune through the use of wordplay (諧音; exchanging characters with similar sounds but different meanings) with the sound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Since the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for wrapping cloth (C. fú, K. bok 袱) has the same sound as the character for good fortune (C. fú, K. bok 福), the characters for to wrap in wrapping cloth (包袱) can be interchanged by wordplay with the characters for to wrap good fortune (包福) , instilling the meaning of wrapping something full of fortune. During the reigns of the Qing Dynasty Emperors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the swift development of pottery making methods made a variety of splendid designs technologically possible, and vases with wrapping cloth designs, with their adopted meaning of good fortune and prosperity (福祿), were produced as the highest quality of pottery to be submitted to the court for presentation to the Emperor. Later, these became very popular amongst the public. In contemporary Joseon, there was a technological limit in that pottery techniques for the soft colors (C. fencai, K. bunchae 粉彩) and enamel that were used to adorn these wrapping cloth designs were not as developed as China. Furthermore, not only vases decorated with wrapping cloth, but also the colorful pottery and other various articles that appear in pictures of good fortune were not objects that anyone could easily own and appreciate. When one considers these points,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e vases decorated with wrapping cloth that appear in Late Joseon paintings as a phenomenon of reproducing the meaning of good fortune implied by vases and wrapping cloth in the subject matter of paintings, and its spread to the common people, and we can glimpse the underlying desire for human happiness contained within.

목차

Ⅰ. 머리말
Ⅱ. 보자기 장식과 문양의 원류
Ⅲ. 청조 보자기 장식 화병의 유행
Ⅳ. 조선 말기 회화에 나타난 보자기 장식 화병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윤희(Park Yoon hee). (2013).조선 말기 회화에 보이는 보자기 장식 화병의 연원과 의미. 고궁문화, (6), 46-73

MLA

박윤희(Park Yoon hee). "조선 말기 회화에 보이는 보자기 장식 화병의 연원과 의미." 고궁문화, .6(2013): 46-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