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한제국 적의 직물 제직에 대한 고찰

이용수 305

영문명
Study on Jeogui Textile Weaving of the Korean Empire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심연옥(Sim Yeon Ok)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4호, 49~98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27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한제국시기 적의직물에 대한 문헌조사와 적의유물 3점에 대한 조사·분석을 병행하여 적의직물의 구성과 제직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적의직물의 제작지에 대한 규명을 위해 일본의 직조자료를 조사하고, 대한제국시기 왕실직물제직에 대한 기록과 유물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1. 대한제국시기 황제국으로서 위상을 확립하기 위하여 적의제도를 새로 마련하고 이 내용을『 대한예전(大韓禮典)』과『 예복(禮服)』에 담았다. 적의제도는『 대명회전(大明會典)』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적의 직물의 종류도 명대의 직물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적의에 적문(苧絲, 紗, 羅), 선단에 직금(織金)(苧絲, 紗, 羅)를 임의대로 사용하였다. 대한제국시기의『 순종순종비가례도감의궤』22)에는 당시 실제 사용된 적의 직물명과 소요량을 적고 있다. 직물의 종류는 채적문필단, 직금운용문필단, 안감에 필단, 사를 사용했다. 2. 적의유물의 제직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적의 직물 3점은 모두 7매 수자조직의 채화단이며, 선단은 연금사(撚金絲)로 짠 직금직물로서 고궁박물관 적의와 세종대 적의는 직금능이며 역사박물관 적의는 직금단이다. 고궁박물관과 세종대학교 유물은 문양과 구성에는 차이는 있으나 적의와 선단에 사용한 견사, 금사가 같고, 조직 및 제직특성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역사박물관 적의는 조직에 있어서는 고궁과 세종대 12등 적의와 같으나 경사의 짜임이 성글고 문위사가 가늘며 직물의 도안이나 제직상태의 완성도가 떨어진다. 선단과 안감의 직물도 차이가 있어 서로 다른 제직환경에서 제직했음이 나타난다. 3. 적의직물의 제작지에 대해 고찰한 결과 고궁박물관 소장 영친왕비 9등 적의의 채적문단과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순정효황후 적의의 채적문단은 일본 쿄토 가와시마직물(川島織物)셀콘에서 제직한 것을 확인했다. 모두 4점의 직물샘플을 조사했으며 A샘플은 12등 적의 뒷길의 하단부분이며, B샘플은 12등 적의 폐슬의 부분이었으며, C샘플은 9등 적의 폐슬부분과 앞길, 뒷길이 이어지는 부분의 시직으로 판단되지만 문양의 간격에는 차이가 있어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D샘플 9등 적의의 소매부분의 샘플임을 확인했다. 정확한 제작연대나 경위 등에 대해서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4. 역사박물관 적의는 영친왕비 9등 적의와 순정효황후 12등 적의와는 제직특성상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것이 대한제국시기 국내에서 제직된 직물이라고 추정하였다. 대한제국 궁내부(宮內府)에 1904년 직조과(織造科)를 따로 설치하여 황실의 의복을 만들었으며, 어용 직조기(御用織造機)를 두어 황실의 직물을 제직하였다. 서울역사박물관 9등 적의 제작시기는 궁내부 직조과가 설치되었던 1904년에서 한일합방되어 궁내부가 폐지되는 1910년 사이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때의 국혼으로는 순정효황후 윤씨의 가례가 있어 이때 소용된 복식이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좀 더 보완된 연구가 필요하다. 조선시대 후기 문직물 직조기술은 영조시대 사치를 금하기 위한 조처로 상방의 직기를 철폐시킨 이후부터 답보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직조기술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직조과를 새로 설치하고 황실의 복식을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직한 것은 황제국 체제 정비를 통한 자주독립국으로서 대한제국의 위상을 세우고자 했던 노력의 일환이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form and weaving characteristics of jeogui textil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documents and the textiles of the three pieces of jeogui relics. And by researching Japan’s weaving document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rea of jeogui textile and researching the documents and relics of the Korean Empire Period’s royal woven textile, this research has resulted in gaining conclusion as below; 1. The Korean Empire had newly prepared a jeogui system to establish stature as emperor country. And left this contents in『 Daehan-yejeon(大韓禮典)』and『 Yebok(禮服)』. The jeogui system follows the contents of 『Da-Ming huidian(大明會典)』 and the type of jeogui textile uses the same name from Ming period. The ramie, gauze(苧絲, 紗, 羅) for jeogui, and Jikgeum(織金) for Sundan. In the Korean Empire’s『 Garaedogam(嘉禮都監儀軌)』, shows the textile name and demand quantity of jeogui used in that period. For the fabric type there were Dahn with pheasant(彩翟紋匹緞) and Dahn with Jikguem cloud and dragons(織金雲龍 紋匹緞) for the lining, Dahn and Sa was used. 2. Researched and compared the weaving characteristics of jeogui relic. The three pieces of jeogui textile were all Dahn with flowers(彩花緞) of seven-end satin binding. Sundan is a Jikgeum textile woven by twisted-gold thread(撚金絲). The jeogu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are Jikgeum Nueng and the one in Seoul Museum of History is Jikgeum Dahn. The relic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show difference in pattern and composition, but the silk and gold thread used in jeogui and sundan are the same and so is the composition and weaving characteristic. The composition of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the same as the one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Sejong University Museum, but has loose warp threads, thin supplementary weft, and the execution of design and weaving status is depreciated. It shows that they were woven in a different weaving environment from the difference in sundan and lining fabric. 3. In researching the production area of jeogui textile, the Dahn with pheasant-patterned jeogui of the consort of the imperial prince Yeong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Empress Yun’s jeogui at Sejong University Museum were woven in Kawasima-selcon(川島織 物) Kyoto, Japan. This study has researched total of 4 woven fabric sample pieces. A sample is the lower part of twelve-tier jeogui, B sample is part of twelve-tier jeogui’s pyeseul(蔽膝), C sample is judged to be the test weaving of the pyeseul part and connecting part of from the nine-tier jeogui. D sample is the sleeve sample part of the nine-tier jeogui. 4. The weaving characteristic of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different from nine-tier jeogui of the consort of the imperial prince Yeong and Empress Yun’s twelve-tier jeogui, so it is assumed to be made in domestic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n 1904, Department of Weaving(織造科) and a government-patronized loom(御用織造機)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Empire Gungnaebu(宮內府) to produce the imperial family’s garments and fabrics. The production period of nine-tier jeogui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assumed to be from 1904 to 1910. There was a royal wedding for Empress Yun, and this might be the dressing used, but this theory needs more research. The weaving technology of late Joseon Dahn was an action to prohibit luxury during the King Yeongjo period, so the loom of Sangeuiwon(尙衣院) was abolished and after that everything was on standstill. The Korean Empire tried to set up its status as an independence country by establishing Department of Weaving(織造科) and weaving the imperial family’s garments.

목차

Ⅰ. 머리말
Ⅱ. 문헌에 나타난 적의 직물
Ⅲ. 적의 유물 분석·비교
Ⅳ. 적의 직물 제작지 규명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연옥(Sim Yeon Ok). (2011).대한제국 적의 직물 제직에 대한 고찰. 고궁문화, (4), 49-98

MLA

심연옥(Sim Yeon Ok). "대한제국 적의 직물 제직에 대한 고찰." 고궁문화, .4(2011): 49-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