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한제국 황실의 적의제도(1)

이용수 446

영문명
The Jeogui System of Korean Empire’s Imperial Family(1)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박성실(Park Sung Sil)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4호, 7~4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27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적의는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에서 최고 통치자의 적통을 잇는 여성만이 입을 수 대례복이다. 고려말 명 태조비 효자황후가 공민왕비에게 사여(賜與)한 심청색 9등 적의제도를 시작으로 한다. 조선에서도 관복 사여는 계속되어 전기에는 명부 1품 관복에 따른 홍대삼과 하피제를 적의제도로 시행하였다. 조선후기에는 명의 멸망으로 국조 적의제도가 시행되었으며 대삼형 적의에 면복에 대응하는 부속제구를 갖춘 것이었다. 대한제국 성립을 계기로 심청색 적의가 부활되었다. 이 글은 적의유물이 현존하는 대한제국 황실 적의제도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고종은 대한제국이 전통적인 황실의 복식문화를 계승한 황제국으로 독립하고 있음을 만방에 과시하는 수단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들어진 대한제국의 적의제도는 조선의 제도와 확연히 구분되며 심청색 바탕에 적문(翟紋)과 이화문(李花紋)이 전체에 시문된 것이다. 적의에 시문된 적문과 소륜화문의 배치 등급에 따라 신분적 차이를 두어 12등 적의는 황후용으로, 9등 적의는 황태자비용으로 구분하였다. 현존하는 유물에는 적의 3건과 적의본 1건이 있다. 순정효황후(윤황후)의 12등 적의와 영친왕비 9등 적의는 소재나 문양, 구성이 거의 동일하다. 1922년 4월 28일 순종과 윤비에게 근현례(覲見禮)를 올리는 과정이 동영상과《순종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의 또 다른 9등 적의는 원래 운현궁에서 보관되어 오던 것으로, 앞의 2건에 비해 제직상태나 재질이 매우 빈약하다. 병오년(1906)『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적의 의차(衣次, 옷감)에“ 심청채적문필단(深靑彩翟紋匹緞)”의 기록이 이 유물과 밀접해 보인다. 그러나 세종대박물관 소장 구봉문(九鳳紋) 직금홍원삼(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 동궁비원삼)은“ 병오가례시 원삼”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는 영친왕비 직금 홍원삼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장서각의“ 병오가례시 禮服地見樣”(1906년~筆者)에는 구봉직금문단으로 초록당고의와 홍원삼을 마름질하기 위한 간략한 도설이 있다. 이상의 병오년 유물자료를 참조하면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9등 적의는 12등 적의본처럼 9등적의 제작을 위한 견본품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적의고대 양쪽과 아래 도련 중심에 부착된 단추고리가 매듭끈으로 엉성하게 달려 있는 상황도 가능성에 힘을 보탠다. 대한제국 당시 황실을 지켜온 여성 가운데 적의를 착용하였거나 가능성이 있는 인물은 명헌태후(1831~1903), 명성황후(1851~1895), 황귀비(1854~1911), 순명효황후(1872~1904), 순정효황후(1894~1966)와 영친왕비(1901~1989) 등이다. 명헌태후와 순명효황후는 각각 12등과 9등 적의를 모두 착용하였을 것이나 남아있지 않다. 명성황후의 적의 기록은 없으나 승하 2년후에 황후의 전례(典禮)로 국장을 거행하였기 때문에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황귀비 엄씨의 금책문(金冊文) 가운데“ 褕翟”의 기록이 확인된다. 세종대박물관의 순정효황후의 적의는 영친왕의 가례 준비를 위하여 새로 만든 것으로, 수도여자사범대학(전 세종대) 설립자에게 기증할 당시 수의(壽衣)로 사용하기 위해 보관하였던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적의를 착의한 여러분의 황실 여성이 있었으나 이와 같은 이유로 전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영문 초록

Jeogui is a ceremonial robe worn only by the queens, crown princesses or emp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Korean Empire Period. The jeogui system started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when the Empress Hyoja of the Ming Dynasty gave a deep blue nine-tier jeogui to Queen Gongmi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official uniforms were given by the Ming government so that jeogui system based on a red-Daesam and Hapi, was enforced according to the attire of the first rank, Myeongbu. After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the Korean jeogui system was implemen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consisted of a jeogui like a Daesam and ornaments which were used for Myeonbok. The deep-blue jeogui reintroduced a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mpire. This study focused on the jeogui system of the Korean Empire Period based on present remains. King Gojong used jeogui to display that Korean Empire is the emperor country inheriting the traditional palace’s dressing culture. The jeogui system of Korean Empire, made in this situation, was definitely divided from the system of Joseon Dynasty’s system. It had the pheasant pattern, plum flowers pattern on the dark blue background. By differentiating ranks by placement rate of the pheasant pattern and tiny wheel pattern, twelve-tier jeogui was used for empress and nine-tier jeogui was for crowned prince. There are three pieces of jeogui and a piece of jeoguibon as an existing relic. Among the three pieces, twelve-tier jeogui of Empress Yun and nine-tier jeogui of princess consort of Yeong has similar material, pattern, and composition. There is video and records in《 the Literature of Sunjong》, describing the process of Guenhyunryae(覲見禮) to King Sunjong and Empress Yun in April 28th, 1922. Another nine-tier jeogui collect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was kept in Unhyeon-Gung(雲峴宮), but its weaving status and quality was very poor compared to the two prior pieces. The record of “Simcheong-Dhan(深靑彩翟紋匹緞)” in『 Garaedogamuige(嘉禮都 監儀軌)(1906)』 jeogui cloth seems intimate to this relic. But in the nine-pheasant pattern(九鳳 紋) Jikgeum Wonsam(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48, 東宮妃圓衫) collected in the Sejong University Museum, it records as “Wonsam of the 1906’s(丙午嘉禮時 圓衫)”. This is very similar to Queen Younchin’s Jikgeum Wonsam. And in Jangseogak(藏書閣)’s “Yebokjigyeonyang(禮服地 見樣)”(1906), there is a simple illustration of Chorokdangoeui and Hongwonsam. Refer to year 1906 document, the nine-tier jeogui collect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could be a sample for producing nine-tier jeogui like the twelve-tier jeoguibon. The figuer of both godae and loose knot of button ring of jeogui also give possibility to this. There are several women who wore jeogui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Empress Hong(明 憲太后, 1831-1903) and Empress Yun(純明孝皇后, 1872-1904) seem to wore both twelve-tier and nine-tier jeogui, but there are no reference left. There are no records of Empress Min(明成皇后, 1851-1895)’s jeogui, but since she had a national funeral of an empress, the possibility is high. There are records of “jeogui” in Queen Um(貴妃 嚴氏)’s gold investiture book(金冊文). It is written that the Empress Yun’s jeogui in Sejong University Museum was newly produced for the wedding of Imperial prince Yeong. It was stored to be used as a shroud, when donated to Sejong University Museum. So there were several empresses, who wore the jeogui, but for this reason there not much are left.

목차

Ⅰ. 머리말
Ⅱ. 적의제도의 전래와 수용
Ⅲ. 조선왕실의 적의제도
Ⅳ. 대한제국 황실의 적의제도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실(Park Sung Sil). (2011).대한제국 황실의 적의제도(1). 고궁문화, (4), 7-48

MLA

박성실(Park Sung Sil). "대한제국 황실의 적의제도(1)." 고궁문화, .4(2011): 7-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