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나오는 고려시대 피휘와 천문도의 기원

이용수 391

영문명
Naming Taboo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Joseon s King Taejo s Planisphere and the Origin of the Planisphere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안상현(Ahn Sang Hyeon)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4호, 125~15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27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의 중요 천문 자료인 천상열차분야지도, 보천가, 천문류초에 고려 태조인 왕건(王建)의 이름을 피휘(避諱)하여 중국에서는 건성(建星)이라고 불리는 별자리를 입성(立星)으로 표기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고려사 천문지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검색하여 건성(建星)과 입성(立星)으로 기록된 천문 현상들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고려시대에는 건성(建星)이란 이름이 통용되었으며, 특이하게도 충렬왕대(忠烈王代)에만 단 두 건의 입성(立星) 기록을 찾을 수 있었고, 또한 조선시대에는 초기인 태종(太宗) 이전에는 건성(建星) 기록만이 있고, 16세기 중반에서 17세기 중반까지는 입성(立星)만 존재하다가, 17세기 중반 이후로는 건성(建星)과 입성(立星)이 혼용되었음을 알았다. 우리는 이러한 별자리 명칭의 시대적 변화가 조선 초기에 성립된 위의 세 천문학 자료들, 그 중에서도 특히 보천가의 영향 때문임을 논증하였다. 또한,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원도가 고구려 시대의 것이라는 Rufus의 기존 학설은 그 주요 논거인 해동잡록(海東雜錄)에 인용된 양촌도설(陽村圖說)에 나오는‘ 여계(麗季)’라는 용어를 고려 말기가 아니라 고구려 말기로 오역하였고, Rufus와 거의 동시대의 문헌인 경성부사(京城府史)에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원도가 고려시대의 것이라는 설명이 있으므로, Rufus의 학설은 재고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천상열차분야지도의 태조 석각에 고려 태조의 이름을 피휘하여 원래 건성(建星)이라는 별자리를 입성(立星)으로 쓰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원도가 고려 시대의 것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I discovered that the naming taboo of the Goryeo dynasty was used in Cheonsang Yeolchabunyajido, Bocheonga, and Cheonmunryucho that has been important astronomical treati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name of the constellation Geonseong(建星) was replaced with Yipseong(立星) in these treatises in order to avoid using the name of the establisher of the Goryeo dynasty or Wang Geon(王建). I collected all the astronomical records related with Geonseong(建星) and Yipseong(立星) in the official history books of both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As results, Geonseong(建星) had been generally used during the Goryeo dynasty, with exceptions of two records during the era of King Chungnyeol(忠烈王). Geonseong(建 星) had been used during the very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ut from the middle 16th century to the middle 17th century, Yipseong was dominantly used, while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the two terms had been used in a mixed way. I discussed that these variations of terms was caused by the above-mentioned three treatises, especially by Bocheonga. In particular, since the naming taboo of the Goryeo dynasty is used in Cheonsang Yeolchabunyajido, it is necessary for us to revise our idea that the planisphere originated from the Goguryeo dynasty. I proposed an idea that the planisphere originated from the Goryeo dynasty, because of the crucial evidence of the previous idea or Yangchondoseol(陽村圖說) in Haedongjamnok(海東雜錄), the comments on the planisphere in Keijofusi(京城府史) published in 1934 by the Japanese imperialism General, and importantly the naming taboo for the name of the establisher of the Goryeo dynasty or Wang Geon(王建).

목차

Ⅰ. 서론
Ⅱ. 보천가와 천문류초
Ⅲ. 천상열차분야지도
Ⅳ. 역사서 속의 입성(立星)
Ⅴ. 결론
부록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상현(Ahn Sang Hyeon). (2011).천상열차분야지도에 나오는 고려시대 피휘와 천문도의 기원. 고궁문화, (4), 125-157

MLA

안상현(Ahn Sang Hyeon).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나오는 고려시대 피휘와 천문도의 기원." 고궁문화, .4(2011): 125-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