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 왕실의 교명(敎命) 장황(粧䌙)

이용수 540

영문명
Janghwang (Traditional Mounting) for Gyomyeong (Royal Edict)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김경미(Kim Kyung mi)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2호, 60~83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26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명(敎命)은 조선의 문서 가운데서도 국왕문서로 특히 왕통 승계와 관계된 핵심적인 인물들을 책봉하는 문서이다. 국가통치에 있어서 최상위에 위치했던 문서였으므로 조선 왕실에서는 일찍이 중국의 제도를 본받아 비단에 쓰고 비단으로 장황하는 형식을 제도화하였다. 교명은 조선시대를 통해 주로 도감(都監)에서 그 제작을 담당하였고 제작상 중요한 의사결정용 국왕과 조신들이 함께 내린 후 도감으로 전달하여 시행하는 체제였다. 도감은 일반 관리 빛 물품을 제작하는 전운 장인들로 구생되어 행사를 준비하였고 사후도감의 모든 일들을 의궤에 담아 향후 동일 행사가 치러질 때 참고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의궤 속의 관련내용은 시대를 넘어서 교명의 제작과 장황의 일정한 격을 유지할 수 있게끔 해주었다. 직물로 제작하고 장황하여도 문양을 직조한 비단을 주로 사용하는 문서는 교명뿐으로 같은 직물 장황문서이면서 운양 없이 색상만을 규청하여 제작, 장황했던 공신교서(功臣敎書)와 위계를 달리하였고 그밖에 종이 날장으로 이루어진 문서류와도 일차적으로 형태상 구별된다. 또한 장황 재료들의 높은 질적 수준은 오늘날까지도 교명의 원형을 유지시켜 주었다. 교명 두루마리의 장황 구생은 동양의 오랜 두루마리 발달사를 통해볼 때 가창 기본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상하변아(上下邊見) 회장(回裝), 펼쳤을 때 교명문에 잇닿은 좌ㆍ우면 회장, 그다음으로 이어지는 상ㆍ하면 회장 그리고 상ㆍ하측과 옥축두(玉軸頭),상축에 불이는 오색영자(五色纓子)와 운두첨지(韻頭籤子)는 중국의 서화 두루마리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장황면에 비하면 엄격하게도 기본만을 준수한다. 이러한 장황면과 부속물들은 본문의 보호를 위해 필수적으로 갖춰야할 요소들로 교명을 보호하고 오래 보존하는 역할을 하였다. 침향운문단(沈香雲紋緞), 오색후수단(五色後垂緞), 오색영자, 운두첨자와 같은 장황의 부분의 명칭이자 재료와 잭상 등을 규정하는 교명장황 관련 용어들은 교명에만 한정하여 쓰였다. 공신교서 제작 및 장황용어들을 살펴볼 수 있는 공신녹훈 관련 의궤를 살펴볼 경우 일부를 제외하고 같은 부분을 지칭하더라도 별개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물론 중국 두루마리 용어와도 거의 일치하는 것이 없다. 또한 싸고 묶었던 속보자기와 비단끈, 주홍칠이나 흑칠된 교명궤(敎命櫃), 열쇠와 자물쇠, 열쇠주머니, 궤를 썼던 보자기 또한 관련 기록과 함께 현존하고 있어 조선시대 왕실 장황과 의물(儀物)의 외부 포장까지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부속물들과 함께 남은 교명은 조선 왕실 의물의 제작, 장엄, 장황, 사후 보존 등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Gyomyeong(Royal Edict) is the most significant of all royal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It is the document by which the king invested persons who were in the direct line of royal succession. In light of its importance, a gyomyeong was written on silk and mounted with silk, as was done in China. In the Ioseon period, Dogam, an independent ad-hoc government office that was established to handle national matters whenever the need arose, was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gyomyeong. The king and his ministers made important decisions on the production of gyomyeong, and the decisions made were communicated to Dogam to be implemented. Dogam was staffed by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specialized artisans to produce implements needed for state ceremonies. Immediately after the ceremony, an uigwe would be compiled and published by the Dogam. Each uigwe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articular ceremony, including the expenses and implements needed, so that later generations could refer to it as a guide to perform the ceremony the same way down to the last detail. Thanks to the details contained in uigwe, gyomyeong and janghwang(mounting) could be produced at a specific and consistent degree of elegance and dignity. Although many documents were written on and mounted with fabric, gyomyeong was the only type to be written on patterned woven silk. This clearly distinguished the gyomyeong from gyoseo(royal decree to invest meritorious subjects), which was written on and mounted with plain fabric in a specific color indicating the rank of the retainer without woven patterns. Also, the high quality of janghwang mounting materials for gyomyeong enabled gyomyeong to maintain its original shape through the years and even to the present day. The composition of janghwang is of the most basic form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scrolls in the Orient. Compared with the numerous mounting element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scrolls in China, janghwang of gyomyeong were strictly only given basic elements: silk strips on the top and bottom edges, silk strips adjacent to the text of the edict to the right and left when the scroll is spread, next to which are silk strips on the top and bottom, top and bottom rods and a jade rod, a band made of five-colored silk threads, and cloud-shaped pin attached to the top rod. These mounted silk strips and accessories are essential for the protection of the main text, as well as for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gyomyeong. Terminology related to janghwang mounting of gyomyeong that defines names, materials, and colors of components of janghwang, such as chimhyang unmundan (cloud pattern silk in dark brown), osaek husudan(backing fabric woven with five-color silk threads), osaek yeongja(a band made of five-colored silk threads), and undu cheomja(cloud-shaped pin), was used only in reference to gyomyeong. In uigwe which record royal decrees to invest meritorious subjects, different terms were used for the production and mounting, even though they refer to the same parts of the scroll. Of course, almost no terms used for janghwang match those of Chinese scrolls. The sok-bojagi(inner wrapping cloth) and silk band, gyomyeong box painted scarlet or black, key and lock, key pouch, and bojagi(wrapping cloth) used to wrap the gyomyeong box are also extant along with the documents, allowing us to look at janghwang and the wrapping of ceremonial goods in the royal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The gyomyeong which remains along with these accessories best shows how items were made, their sublimity, the particulars of janghwang mounting, and the preservation of ceremonial goods of the royalty of the Joseon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두루마리 교명 형식의 확립
Ⅲ. 교명의 제작
Ⅳ. 교명의 장황 및 현존 교명의 현황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미(Kim Kyung mi). (2008).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 왕실의 교명(敎命) 장황(粧䌙). 고궁문화, (2), 60-83

MLA

김경미(Kim Kyung mi).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 왕실의 교명(敎命) 장황(粧䌙)." 고궁문화, .2(2008): 60-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