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진 장황 섬유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5

영문명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abrics Used for Janghwang (Mounting) of the Portrait of a King -With Focus on Portrait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박윤미(Park Yoon mee) 이미영(Lee Mi Young)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2호, 42~57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26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어진이란 임금의 초상화를 얼컴는 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유물인 유물번호 274 순조어진, 275 순조어진, 277 태조어진, 278 익종어진의 표장직물을 중심으로 특성을 살펴보고 직물의 직조시기와 어진의 제작시기를 추청하고자 한다. 유물의 구성은 동일하여 상촉에 청색화문단과 백색화문단이 있으며 낙영과 유소가 달려 있다. 어진은 반쯤 타다 남은 상태로 낙영과 유소는 각 한 정씩 남아있으며 낙영의 아래에는 금천지술이 달려있고 유소에는 매듭을 짓고 방망이술을 달았다. 어진의 표장에는 청색과 백색의 화문단, 직금, 항라가 사용되었다. 화문단은 모두 6첨으로 4점은 8매수자직, 그리고 2점은 5매수자직으로 제직되었다, 직금은 3점으로 2점은 5매와 8매수자직의 바닥 편금사를 사용하여 용무늬를 시문하였으며 익종어진 낙영에 사용된 것은 5매수자직의 바닥에 연금사를 사용하여 壽 자를 표현하였다. 직물의 8매수자직은 17세기 이후에 직조되기 시작한 기법으로 표장직물의 제직상태와 무늬로 보아 1800년대 후반 이후에 직조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물변호 274의 청색, 백색화문단과 유물번호 277의 것이 통일한 직물인 점, 그리고 유물번호 275 낙영의 직물과 유물번호 277의 낙영 직물 도안이 같은 점 등을 고려하면 어진은 동일한 시기에 제작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used for portraits of kings, with particular focus on emblem bearing fabrics of the Portrait of King Sunjo(Artifact No. 274), Portrait of King Sunjo(Artifact No. 275), Portrait of King Taejo(Artifact No. 277), and Portrait of King Ikjong(Artifact No. 278)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n, the dates of production of the fabrics and portraits of kings are assumed. All the four artifacts are of the same composition. The top part of the scroll is of blue flower and white flower patterned hems and has nagyeong(a hanging cloth) and yuso(tassel) attached. The portraits have fire damage. Only one nagyeong and yuso remain each. Under the nagyeong hangs a geumjeonji-sul(tassel). The yuso is knotted and fastened with a bangmangi-sul(ballshaped ornament with tassel). Blue and white flower patterned fabrics, gold brocade, and silk gauze were used for emblem bearing fabrics for the portraits of kings. Six pieces of flower pattern fabrics remain. Four pieces have five-harness satin weave, and the other two pieces have eight-harness satin weave. Three pieces of gold brocade remain. Two of them are embroidered with a dragon design with gilt paper strips on the five-harness and eight-harness satin weaves. The third piece, which was used as the nagyeong of the Portrait of King Ikjong, embroidered with gold thread to depict the Chinese character 壽 on the five-harness satin weave. Eight-harness satin weave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seventeenth century. Considering the weaving conditions and decorative patterns of emblem bearing fabric, these fabrics are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ter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Given that the blue and white flower patterned part of artifacts nos. 274 and 277 are made of exactly the same fabric, and that the fabric and design of the nagyeong of artifacts nos. 275 and 277 are the same, these portraits are assumed to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섬유류의 특성
Ⅲ.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윤미(Park Yoon mee),이미영(Lee Mi Young). (2008).어진 장황 섬유류의 특성에 관한 연구. 고궁문화, (2), 42-57

MLA

박윤미(Park Yoon mee),이미영(Lee Mi Young). "어진 장황 섬유류의 특성에 관한 연구." 고궁문화, .2(2008): 4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