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어와 한국어 초점사 비교 분석 연구

이용수 115

영문명
The Comparison of Focus Particl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소영(Kim Soyou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1호, 603~62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어와 한국어 초점사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다양한 학문적 접근 속에서 이루어져 왔다. 초점사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이들의 통사적, 의미론적, 화용론적 복잡성을 드러냈고, 실험연구에서는 모국어 습득 유아들(4-6세)이 초점사 발달과정에서 어려 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습득지연은 이론적 연구에서 발표하였듯이초점사가 다양한 언어학적 지식들의 결합으로만 이해 가능한 복잡성을 지니고 있기때문이다. 다량으로 이뤄진 모국어 습득과는 달리 제 2언 습득 분야에서는 초점사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두 언어가 상이한 초점사 형태를 지니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볼 때 제 2언어 습득과정은 그들의 상이성으로 인해 간섭을 받을 것으로 추론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연구실행에 앞서 두 언어의 초점사가 통사론적, 의미 론적으로 상이한지 아니면 유사한지를 밝히는 기초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와 한국의 다양한 기존 연구에서 추출된 초점사를 포함한 문장들을대상으로 두 언어의 초점사를 통사적, 의미론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비교 분석 결과, 한국어와 영어는 형태론적으로 상이한 초점사 표기법을 지니고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분통어 제약에 기인한 통사적 행동이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본 논문은 초점사 비교분석을 통하여 두 언어가 가지는 언어 보편적 또는 언어 특수적 특징들을 밝혀내고 더 나아가 인간의 언어 수행이 어떠한 메카니즘에 의하여 초점화된 정보를 처리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기여한다.

영문 초록

The investigations into focus particles of English and Korean have been made from a variety of academic approaches. Theoretical literatures have shown the complexity of their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Horn, 1969 ; Kay, 1990 ; Ross, 1979 ; Konig, 1990 ; Quirk, 1985 ; Sohn, 1999). Empir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regarding focus particles also reported that the process of comprehension of sentences containing a focus particle requires the complicated knowledge of interfaces at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Crain et al., 1994 ; Paterson et al., 2003 ; Gualmini et al., 2003 ; Kim, 2011, 2015 ; Matsuoka, 2004 ; Höhle et al., 2009, 2016 ; Notley et al., 2009). Relative to a great deal of work for each focus particle in L1 acquisition, however, it is very recently that there have been attempts to extend it to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English and Korean have different focus marking systems, it i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more differences than similarities between them. Prior to the discussions regarding this, it is fundamental to explore how two languages differ from each other or are similar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operations of focus particl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compare and contrast focus particles of English and Korean with focus on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No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plore whether or not there are any similarities that underly the operation of focusing constituents in a sentence. This comparative study can make contributions to discover any language-universal or language-specific features in how the focus particles behave, which shades light on how focus markers are operative in human mind. (Tongmyoung Unveris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Previous Studies
Ⅲ. The Comparative Analysis on Focus Operators between English and Korean
Ⅳ.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Kim Soyoung). (2017).영어와 한국어 초점사 비교 분석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8 (1), 603-625

MLA

김소영(Kim Soyoung). "영어와 한국어 초점사 비교 분석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8.1(2017): 603-6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