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치원 풍류風流탄생>展의 서예비평적 고찰

이용수 141

영문명
Calligraphic and Critical Examination on the Exhibition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장지훈(Jang Ji Hoon)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0호, 245~26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는 21세기 인문정신의 재발견을 위한 첫 번째 전시로 <최치원 풍류風流탄생>전(2014.07.30.-09.14)이 개최된 바 있다. 孤雲 崔致遠(857-909이후)의 ‘風流’를 오늘날 예술로 시각화하여 우리시대 풍류의 참 의미를 조명하기 위해서이다. 전시의 취지는 최치원을 통해 ‘풍류’라는 우리식의 인문정신을 재인식하고, 풍류에 내재된 ‘우리의 융 ․ 복합적 DNA’를 도출해내며, 書를 중심으로 풍류를 이 시대의 다양한 예술로써 융 ․ 복합하여 재현해보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전시는 ‘풍류’라는 미명으로 최치원 일생을 시각적 나열로 조명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느껴지는 풍류가 아닌 보여주는 풍류에 불과했다. 최치원과 관련된 것을 조명하면 당연히 ‘풍류’가 잇따르거나 연상될 것이라는 안일한 기대심리가 여실해 보였다. 한국사상의 원형적 특질을 최치원이 ‘풍류’라고 정의한 것은 맞지만, 최치원의 궤적을 곧 풍류라고 이해하는 것은 불가하기 때문이다. 최치원의 사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가 정의한 풍류의 본질에서 다소 멀어진 전시였다. 그래서 神韻이 부족한 形質의 風俗만 가득했다. 특히 풍류를 서예로 재해석하기 위해서는 풍류가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열린 마음’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한 열린 마음이 서예로 재현되면 ‘소탈’하면서도 ‘품격’있고 ‘아름’다우며 ‘감동’시키는 문자예술로 와 닿는다. 즉, 현란함을 떨쳐버리고 爲學日益의 성실과 爲道日損의 순수가 깃든 ‘順自然의 붓길’ 그 자체만으로도 풍류를 담기에 충분한 전시였다.

영문 초록

The exhibition of was held by Seoul Calligraphy Museum at Seoul Art Center (2014.07.30.-09.14) as the first exhibit to rediscover humanistic spirit in the 21st century. It was to visualize ‘Pungryu (風流, taste and appreciation for the arts)’ of Goun Choi Chiwon (孤雲崔致遠, 857-later than 909) in the form of today’s art and to illuminate true meaning of Pungryu of our times. The exhibition aime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our own humanistic spirit of ‘Pungryu’ through Choi Chiwon; to draw ‘our own converged and integrated DNA’ inherent in Pungryu and; to reproduce Pungryu with a today’s variety of art forms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focusing on calligraphy. In the name of ‘Pungryu,’ however, this exhibition just looked at Choi Chiwon’s life merely through a visual list. Pungryu demonstrated at the exhibit was only to show, not to make people genuinely feel it. It was obvious that the exhibition had complacent expectations that ‘Pungryu’ naturally came along or it would be reminded if Choi Chiwon’s work was once presented. It was correct that Choi Chiwon defined origi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hought as ‘Pungryu’ but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at traces of Choi Chiwon were Pungryu itself. The exhibition was somewhat distant from the essence of Pungryu defined by Choi Chiwon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n his ideas. It was just full of customs with not enough superb spirit within. It wa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Pungryu was ‘open mind,’ the Korean’s universal emotion particularly to reinterpret Pungryu as calligraphy. Reproduction of such open mind with calligraphy comes to people’s mind as ‘folksy,’ ‘elegant,’ ‘beautiful’ and ‘touching’ art with letters. In other words, the exhibition would do to present Pungryu if it only had ‘brushstroke to follow the nature’ with sincerity of everyday learning for filling one’s heart (爲學日益) and purity of everyday emptying for enlightenment (爲道日損) without any glitz.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최치원 사상과 풍류에 대한 재해석
Ⅲ. 풍류에 대한 이해와 오해
Ⅳ. 나오는 말
< 참 고 문 헌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훈(Jang Ji Hoon). (2017).<최치원 풍류風流탄생>展의 서예비평적 고찰. 서예학연구, (30), 245-269

MLA

장지훈(Jang Ji Hoon). "<최치원 풍류風流탄생>展의 서예비평적 고찰." 서예학연구, .30(2017): 245-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