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毫生館 崔北 書畵의 心學的 美意識 考察

이용수 254

영문명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Philosophy of Mind of Choi Buk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한경애(Han Kyung ae)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0호, 45~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호생관 최북(1712~?)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화가였으며 문장과 글씨, 그림이 모두 기이하다고 스스로 자부할 정도로 뛰어난 기량과 자존의식을 갖춘 화가이다. 최북의 교유관계에서 주목되는 것은 당시 정치권력에서 일정하게 소외된 여주 이씨를 비롯한 남인계 지식인들과 함께 시서화를 애호했거나 정서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이다. 조선 후기는 보편적인 가치의 실현을 강조한 성리학이 시대 변화의 요구를 수용하는 데 한계점을 드러내고 양명학의 수용과 파급으로 인간의 욕망과 개성을 추구하는 사유가 확대되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창작활동에서 미학적 인식의 변화는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心學的 미의식의 사유는 主體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바, 이는 최북의 서화세계에 있어 창작과 예술정신에 근원이 되고 있다. 게다가 최북은 타고난 신분적 차별에 의한 울분과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력이 창작을 통해 투철한 자아의식으로 투영되었다. 최북의 행적을 보면 사대부에게 버금가거나 그 이상인 절개와 지조로 묘사되는 奇節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그의 진취적 기상과 체제에 안주하지 않는 의지가 작품에 투영되어 초탈하고 자유분방하며 구속됨이 없어 氣格이 高逸하고 放逸한 畵境을 이루었다. 그는 서체에 있어서도 草書와 行草에 능해 창작을 통해 放逸의 경지를 체현함으로써 당시의 구태의연한 규범과 가치를 초월하고자 했다. 따라서 최북의 서화세계에 있어 심학적 미의식은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감정의 표출을 생명으로 하는 미의식을 촉발시켰으며, 새로운 근대지향적 미의식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Hosaenggwan Choi-Buk (1712-?) was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He was born in the family of jungin, but became a painter with skills that were as outstanding as those of any sadaebu (scholar-official). What was remarkable about Choi-Buk’s friendships and companionships was that Choi favored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along with and formed emotional connections with intellectuals of the Namin factions, including the Yeoju Lee family, who had been constantly alienated and excluded from political power. The late Joseon period was an era in which the essence of subjectivity shifted from “human nature” (性) to “human affection” (情) following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Yangmyeonghak (Yangming studies). Therefore, the shift in aesthetic consciousness manifested in creative activity was inevitable. Furthermore, subjectivity (主體心) was essential to reflections on aesthetic consciousness as practical ethics, which formed the basis of creation and artistic mindset in the calligraphic world of Choi-Buk. Moreover, Choi-Buk’s resentment towards discrimination based on class and his sharp criticism of society were reflected in his creations with a clear sense of self-consciousness. Choi-Buk’s creations indicate an incredible “kijeol” (奇節) meaning integrity and fidelity, which matched or even surpassed that of any sadaebu (scholar-official). His works reflected his progressive spirit and determination to never stay content with the establishment, transcending and free from worldly constraints. He created paintings of “heedlessness” (放逸) that showed his extraordinary personality and elegance. As for calligraphy, Choi-Buk was a competent writer of cursive script (草書) and semi-cursive script (行草) and, by representing the stage of “heedlessness” through creative activity, he intended to transcend the obsolete norms and values of that period. Thus, aesthetic consciousness as practical ethics in the calligraphy of Choi-Buk encouraged a subjective and free expression of emotion and provided the foundation for new and modern aesthetic consciousness.

목차

Ⅰ. 서론
Ⅱ. 崔北의 生涯와 交遊關係
Ⅲ. 崔北 書畵世界의 思想的 基底
1. 自尊的 自我意識과 현실비판 의식
2. 개성적 자아표현으로서의 ‘本色’
Ⅳ. 崔北 書畵世界의 心學的 美意識
1. 心靈氣質의 奇節美
2. 雄健豪放의 放逸美와 悲憤慷慨적 悲壯美
Ⅴ. 결론
< 참 고 문 헌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경애(Han Kyung ae). (2017).毫生館 崔北 書畵의 心學的 美意識 考察. 서예학연구, (30), 45-73

MLA

한경애(Han Kyung ae). "毫生館 崔北 書畵의 心學的 美意識 考察." 서예학연구, .30(2017): 45-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