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朝 17-18世紀 書藝의 創新性에 關한 考察

이용수 120

영문명
A Consideration of the Calligraphic Theory of Creating the New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of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영하(Jung Young ha)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0호, 137~16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朝鮮時代에 활동한 문인서예가인 眉叟 許穆(1595-1682)․玉洞 李漵(1662-1723)․圓嶠 李匡師(1705-1777)의 서예론을 통해 17-18세기 한국서예의 創新性에 관해 조명한 글이다. 17세기에 활동했던 미수 허목의 경우, 尙古精神에 입각하여 새로운 서예창작 세계를 개척한 인물이다. 17-18세기에 걸쳐 활동했던 옥동 이서는 당시의 서풍이 정신적으로 무기력 하고 조형적인 기교에 치우쳤던 양상을 타파하려는 革新의 書藝精神을 지향한 인물이다. 18세기에 활동했던 원교 이광사는 당시 柔媚․姸媚한 조선서예의 폐단을 자각하고 「書訣」을 저술하였다. 허목은 六經古文을 통해 서예의 기원과 문자의 기원을 재인식함으로써 자기만의 독특한 서체를 창안하였고, 이서는 易經을 통해 서예의 원형과 正道를 이해함으로써 변화의 서예정신을 이끌어냈으며, 이광사 또한 六經에 바탕한 양명심학의 학문정신을 서예에 투영함으로써 생명정신이 깃든 조선풍의 서예를 강구하였다. 이러한 차원에서 학맥과 인맥의 계통성은 없지만 이 세 사람은 공히 조선의 서예미학사상 진정한 법고창신을 실현하고자 노력했던 인물로 평가될 수 있겠다. 이들의 創新論은 조선의 서예가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獨自的인 書藝體系를 갖추게 하는데 일조하였다. 이들의 創新論에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한민족의 主體性․自矜心을 회복하려는 정신이 내재 되어 있다. 또한 당시의 암울한 사회․경제․문화에 대한 우려와 새로운 활로 및 부흥을 바라는 마음이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calligraphy’s characteristics of creating the new through the calligraphic theory of Misu Heo, Mok․Okdong Lee, Seo․Wongyo Lee, Gwanga, who were literati calligraphers in Joseon dynasty. Misu Heo, Mok, who lived in 17th century, pioneered a new world of creating calligraphy through the spirit of pursuing the old text. Okdong Lee, Seo, who lived in 17th and 18th centuries, pursued an innovative spirit of calligraphy to change the aspect that the calligraphic style of those days was deficient in spirit and biased towards a formative technique. Wongyo Lee, Gwangsa, who lived in 18th century, recognized the negative effects of Joseon’s calligraphy and wrote Seogyeol. Heo, Mok created his own unique style of calligraphy by recognizing the origin of calligraphy and characters through the old text of the Six Classics. Lee, Seo drew the calligraphic spirit of changes by comprehending the origin and the right Way of calligraphy through the Book of Changes. Lee, Gwangsa devised Joseon’s style of calligraphy with a vital spirit by reflecting the academic spirit of Yangming school of Mind based on the Six Classics in calligraphy. Although their academic traditions and personal connections were not relevant at all, they could be evaluated as the people who tried to realize emulating the old and creating the new in the history of calligraphic aesthetics in Joseon. Their theories of creating the new contributed to make the calligraphy of Joseon have an independent system of calligraphy getting out from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The spirit to revive the independence and the self-esteem of the Korean race in the relationship with China is inherent in their theories. Besides, the theories contain the concerns about the grey situations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of those days and the wishes to revive by seeking for a way forward.

목차

Ⅰ. 머리말
Ⅱ. 朝鮮朝 17-18世紀 書藝史的 背景
Ⅲ. 朝鮮朝 17-18世紀 書藝家의 創新性
1. 許穆의 六經古學的 創新性
2. 李溆의 朱子性理學的 創新性
3. 李匡師의 陽明心學的 創新性
Ⅳ. 맺음말
< 참 고 문 헌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하(Jung Young ha). (2017).朝鮮朝 17-18世紀 書藝의 創新性에 關한 考察. 서예학연구, (30), 137-161

MLA

정영하(Jung Young ha). "朝鮮朝 17-18世紀 書藝의 創新性에 關한 考察." 서예학연구, .30(2017): 137-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