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後期 文人篆刻의 美意識 硏究

이용수 119

영문명
An aesthetic consciousness research on literati s seal engrav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현숙(Kim Hyun Soo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0호, 75~9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전각 사조에서 가장 큰 변화는 16~17세기 명ㆍ청대 印風과 印譜의 유입으로 발생한 文ㆍ史ㆍ哲ㆍ藝 등에 조예가 깊은 문인전각가의 등장이다. 당시 성리학을 중시했던 시대적 분위기 속에도 전각을 애호하거나 직접 刻印함으로써 書畵와 함께 미의 가치를 부여했던 문인들이 있었다. 이들 문인사대부들은 篆刻을 학문사상 혹은 수양차원의 매개체로 삼거나 古文을 통한 尙古정신의 회복이란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이후 전각을 애호하거나 自刻한 문인들의 인식도 이들 관점과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이전과 다른 양상으로도 나타났다. 즉 실학의 흥기와 함께 서화와 관련된 여러 문인들이 청나라와 교류하면서 印譜ㆍ書畵鑑藏印ㆍ落款印ㆍ藏書印ㆍ印材 등에도 관심을 갖게 되면서 전각에 대한 미의식을 드러냈다. 조선후기 문인전각의 미의식 양상은 修養實踐으로서의 載道性ㆍ尙古重視의 古學的 愛好觀ㆍ篆刻의 批評論的 觀點 등 세 가지 측면으로 찾아볼 수 있다. 문인전각의 미의식 양상은 첫째, 전각을 小技나 玩物喪志의 극복 대상으로 여기기보다는 학문의 일환이나 인격을 수립하는 실천의 매개체로써 인식하고 여기서 미적 가치를 찾고자 했다. 둘째, 전각을 매개로 하여 尙古의 古文을 드러내고자 하는 古學적 애호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漢印의 예스러운 품격에 평가기준을 두면서도 새롭고 주체적인 印風에 더 가치를 두었다. 조선후기에 형성된 문인전각의 주체적 미의식이나 비평적 사고의 양상은 이후 후학들에게 이어지면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까지 한국 전각사조를 이끌었다. 이시대에 배출된 여러 전각가들 중 丁學敎ㆍ劉漢翼ㆍ姜璡熙ㆍ吳世昌ㆍ金台錫등은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면서 20세기 후반까지 한국 전각의 맥을 이어갔다.

영문 초록

The most considerable change in the trend of seal engraving in Korea is the advent of literary seal engravers who were well learned in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rt, etc. There were scholars who granted aesthetic value to seal engraving, painting and calligraphic art, by being fond of seal engraving and doing it by themselves even in Neo-confucianism-oriented circumstanc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literary seal engrav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reflected in three aspects: preservation of moral values as self-cultivation and self-practice, ancient scholarship-oriented literary value, and aesthetic, critical view about seal engraving. First of all, the scholars who had this aesthetic consciousness tried to recognize seal engraving as a part of learning or a medium of practice to build personally, not as a low-level art of antique collection and appreciation which was treated as a behavior to be rejected by scholars. Second, they made seal engraving works but avoided collecting and appreciating antiques as a simple hobby, at the same time, had an attitude to value ancient learning and art but not to consider seal engraving as a low-level art. Lastly, they had high regard for classical grace of seal engraving as a valuation basis, but were more concerned with new, self-directed trend of seal engraving than that. The aspect of literary seal engravers’ inherent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ritical thought which formed in late Joseon dynasty passed down to younger scholars and led the trend of seal engraving in Korea until the late 19th century,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ere many seal engravers such as Jeong Hak-gyo, Yu Han-ik, Kang Jin-hee, Oh se-chang and Kim Tae-seok from that era. They actively developed artistic activities and carried on the tradition of seal engraving in Korea untill the late 20th century.

목차

Ⅰ. 緖論
Ⅱ. 文人篆刻의 形成 過程
Ⅲ. 文人篆刻의 美意識 樣相
1. 修養實踐으로서의 載道性
2. 尙古重視의 古學的 愛好觀
3. 篆刻의 批評論的 觀點
Ⅳ. 結論
< 참 고 문 헌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숙(Kim Hyun Sook). (2017).朝鮮後期 文人篆刻의 美意識 硏究. 서예학연구, (30), 75-98

MLA

김현숙(Kim Hyun Sook). "朝鮮後期 文人篆刻의 美意識 硏究." 서예학연구, .30(2017): 75-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