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병학지남(兵學指南) 언해본류의 다종서체(多種書體)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이용수 86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Diverse Chirography in Korean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Diverse Chirography in Korean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박정숙(Park Jung soo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0호, 99~13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북방과 남왜의 침략에 따른 전법을 달라야 했고 지역에 따라 달라야함에 따라 일률적인 전법은 무리라고 여기게 되었다. 이에 상응하여 무술과 전략이 대상과 지역의 실정에 맞는 새로운 병법서의 간행이 시급해졌으며,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병학지남』을 각 지방으로 보내어 그곳에 맞는 전법만을 간추려 언해하여 연병에 사용한 수많은 이판본 『병학지남』이 간행되었다. 그동안 알려진 『병학지남(兵學指南) 』은 108종 [이진호(2009), 한국고전적종합목록 시스템, 병학지남 참조]이나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 약 10~20종의 대강〔大綱〕으로 정리되었다. 본고에서는 여러 이본 중에서 서체의 조형적 특징이 뚜렷하고 각 지방에서 간행된 판본 중에서 10종을 선정하여 『병학지남』 언해본류의 다종적(多種的) 서체 형성의 근원과 17~18세기의 유행했던 판본류의 서체적 특징을 탐색하였으며, 여러 판본서체 중에서 서체미가 가장 뛰어난 것을 선별하여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10종 판본을 분석한 결과로, 각 지방에서 복각된 『남원영판』, 『강희묵서본』, 『별후영판』 등의 언해문 서체는 서울에서 간행된 『규장각정미본』과 『훈련도감판』에 비해서 자형이 정제되지 않고 배자나 배행이 정연하지 못하여 서체미가 뒤떨어짐을 볼 수 있다. 이는 서울 교서관에서 활자본으로 인출하여 지방으로 보내면, 지방 관아에서 목판에 복각하여 간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배행방식에서 한문 원문 뒤에 한글로 언해한 이유로 인해 자체의 미감보다는 한 행 속에 많은 문자를 넣으려는 의도로 인해서 초중종성의 형태별 요소미가 확연하지 못한 결과를 볼 수 있다. 10종 판본 중 『병학지남육조언해』는 한자 하나하나에 음을 달아 한문을 모르는 초학자용으로 만들었으며, ‘병학’을 ‘병’으로 표기하는 등 방언을 사용한 흔적도 있다. 그리고 내륙지방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수조정식」 언해는 빠지게 된 특색도 볼 수 있어 각 지방의 실정에 맞게 언해하여 만든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상 10 종의 판본서체의 조형미는, 정조가 직접 지시하여 만든 고딕체형인 『규장각정미본』이 가장 엄중한 정연미를 보이고 있으며, 서체와 배자방법이 가장 뛰어난 것은 서울 훈련도감에서 만든 『훈련도감본』이 가장 아름다운 조형미로 꼽을 수 있다. 또한 특이한 자형을 응용할 판종으로는 『별후영판』이 있다.

영문 초록

After experienc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Joseon realized they would need various tactics depending on the enemy or the region. It was urgent for them to publish the book of tactics, so the government sent Byeonghakjinam to each province and made them extract the contents they needed and translate into Korean. Therefore, many Korean annotation versions of Byeonghakjinam have been published. There were 108 versions of Byeonghakjinam, but about 10 to 20 versions have been selected by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selected 10 Korean annotation versions of Byeonghakjinam, that have distinct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hirography. And it identified the origin of formation of various chirograph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rography used for woodblock-printing which was popular between 17 to 18 centuries. Moreover, it suggested application plans for the chirograph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hirography of Namwonyeongpan, Ganghuimukseobon and Byeolhuyeongpan, that were published in local government offices, were less beautiful than those of Gyujanggak-jeongmibon and Hullyeondogampan, that were published in Seoul due to irregularity and disarrangement. This might have happened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office carved again and reprinted with the book which the government published and sent. Especially, since they put Korean annotation next to Chinese original text, they intended to put as many characters as possible on each page rather than pursuing the beauty of chirography. Among them, the most unique version was Byeonghakjinam-yukjoeonhae published in Daegujin. Its size was the same as Sipgusaryak-eonhae published in Daegujin, but it might have been published for those who did not know Chinese characters because it gave the read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in Korean. Also, it included regional dialects. For example, it said ‘Byeonhaek(병) ’, which was a regional dialect of Daegu, instead of ‘Byenghak(병학)’. In addition, it did not include Korean annotation of Sujojeongsik, which the province did not need, so we could know that it was published for the need of the province. Among the 10 wood-block printing chirography, the chirography of Gyujanggak-jeongmibon, which was published by King Jeongjo, was the most regular and had a rigorous beauty, and the chirography of Hullyeondogambon was the most arranged and had the most beautiful formative aesthetics. Also, the chirography of Byeolhuyeongpan was very unique, so we could apply this to calligraphic art.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의 방법 및 서지적 개황
Ⅲ. 병학지남 다종 문장의 장법적 형성
Ⅳ. 병학지남 다종 문자의 결구적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숙(Park Jung sook). (2017).병학지남(兵學指南) 언해본류의 다종서체(多種書體)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서예학연구, (30), 99-136

MLA

박정숙(Park Jung sook). "병학지남(兵學指南) 언해본류의 다종서체(多種書體)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서예학연구, .30(2017): 99-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