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자출판의 법적 의미와 그 한계

이용수 104

영문명
The Legal Meaning and Limitation of Electronic Publishing
발행기관
한국정보법학회
저자명
박성호(Park Seong Ho)
간행물 정보
『정보법학』제14권 제2호, 51~7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자책과 아마존의 킨들, 애플의 아이패드 같은 전자책 전용단말기들이 출판업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전자책이란 전통적인 책인 종이와 잉크를 이용한 인쇄물이 아니라 문자나 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전자매체에 기록하여 전자북리더와 같은 전용단말기 등 으로 읽을 수 있는 출판물이다. 전자책의 범주에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받아 전용단말기로 읽을 수 있는 것뿐 아니라 CD-ROM 등에 저장되는 것도 포함된다. 전자책의 출현으로 인해 저작권이나 관련 권리의 관리와 조정에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게 되었다. 특히 출판계약에서 출판자가 부여받는 권리의 범위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종래의 출판권과 전자출판권을 구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전자출판권이 우리나라 저작권법이 규정하는 설정출판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한지에 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설정출판권의 법적 의미와 한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전자출판에 관한 법적 쟁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설정출판권 제도의 확대나 배타적 이용권 제도의 신설 등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Electronic books and e-book readers like Amazon’s Kindle and Apple’s iPad are changing the book publishing industry. An e-book is an electronic version of a printed book which can be read on a personal computer or hand-held device like e-book reader. The category of electronic publishing includes e-books in CD-ROM formats as well as downloadable text or hand-held devices. With the advent of e-books and electronic publishing, careful management and fair adjustment of copyrights are needed.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when an author wants to have a publisher to publish his/her work, he/she has a choice of either granting the publisher an exclusive or non-exclusive license to publish it, or granting the publisher to establish a right of publication. Unlike an exclusive or non-exclusive license, a right of publication enjoys the exclusivity against third parties. There are many variations on the scope of the rights granted to the publisher by the autho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publisher’s right of publication and electronic publishing right.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nic publishing right might be construed as establishing a right of publication, we must first clarify the legal meaning and limitation of a right of publication. And for resolving the legal issues concerning electronic publishing, it should be necessary for us to consider proposals for reforming the Act in relating to expansion of the range of a right of publication, adoption of exclusive license system with the exclusivity against third parties, et cetera.

목차

Ⅰ. 처음에
Ⅱ. 현행 저작권법에서 전자출판의 법적 의미
1. ‘전자출판’의 개념
2. 현행 저작권법에서 ‘출판’의 정의
3. 현행 저작권법에서의 출판계약․출판권설정계약과 ‘전자출판’의 관계
4. 출판계약 당사자 간의 약정에 의한 ‘준물권’ 창설의 가능성
5. 전자출판물을 침해한 제3자에 대한 출판자의 침해정지청구권의 행사 가능성
Ⅲ. 전자출판의 법적 한계와 그 보완 방안
1. 설정출판권 제도의 확대
2. 배타적 이용권 제도의 신설
3. 포괄적인 원스톱 방식의 집중이용허락 제도의 신설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호(Park Seong Ho). (2010).전자출판의 법적 의미와 그 한계. 정보법학, 14 (2), 51-78

MLA

박성호(Park Seong Ho). "전자출판의 법적 의미와 그 한계." 정보법학, 14.2(2010): 5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