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이후 초등 실과 식생활 교육의 역사와 방향

이용수 253

영문명
History and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원(Kim, Jeong-Weon)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3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교육 관련법이 제정되고 국가 교육과정이 개정되는 현 시점에서, 해방 이후부터 2009년 개정 교육과정까지 지난 65년간 식생활교육 내용의 변천사를 초등 실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고찰해 보고 향후 바람직한 식생활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사이버교과서박물관(www.textlib.net)에서 제공되는 자료와 최근 검인정 교과서를 사용하였다. 실과 식생활 교육내용은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는 일상 식생활 영위에 필요한 각종 밥과 반찬만들기 등 조리 실기에 치중하였다. 1970년대 이후는 영양과 영양소, 식품군 등 과학적인 식생활 교육접근이 이뤄졌고 1980년대 이후에는 외식, 매식 등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식생활 패턴의 변화를 담아내고 있었다. 그러나 식사예절 부분은 전 교육과정에 걸쳐 강조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서구 식문화는 1~3차 교육과정에 걸쳐 도입되었고 이후 7차 및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전통식생활 강조하는 방향으로 회귀하였다. 시대변화에 따라 식품군, 조리도구 등이 변화하는 것을 통해 생활양식의 변화를 읽어낼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 초기에 비해 실과 교육학년 및 시수가 축소됨에 따라 식생활 교육내용도 축소되었다. 더욱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과는 교과군 및 집중이수제 도입에 따른 위축의 위기에처하게 되었다. 최근 어린이 비만의 증가나 생활습관병의 증가는 식생활 교육 축소와 무관하지 않으며,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최근 마련된 식생활교육기본법 및 식생활교육기본계획을 초등 식생활교육의 기회요인으로 활용하여 실과 교과를 식생활교육 중심 교과로 그 위상을 공고히 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실과를 중심으로 초등 교육과정의 총체적 활용을 통한 식생활 교육 실시, 교사 대상 식생활교육 및 연수 강화, 그리고 정부를 비롯한 각 이해당사자의 협력을 통해 식생활교육을 범국가적인 운동으로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 chang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laws on dietary education raised the necessity of reviewing the history of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in Korea. The changes in the dietar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was reviewed for the years of 1945~2010 by using the cyber textbook museum and recent textbooks published.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were focused on cooking skills of various Korean food in 1950s and 1960s. Scientific approach such as nutrition and nutrients, and food group was made in 1970s, and the changes in dietary pattern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1980s. Dietary manner was always dealt in the textbook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Foreign dietary life was introduced since early stage of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 traditional dietary life is stressed in recent curriculum. By the changes in food groups and cooking utensils in the textbook, the lifestyle of each period could be observed. Due to the gradual decrease in total hours of class for practical arts, the dietary education contents also were reduced. In addition, 2009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is threatening Practical arts by the introduction of subject group and intensive study system. Recent increase of children s obesity and degenerative disease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hrink of dietary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uch efforts to solidify the status of practical art as a central subject on dietary education should be made by utilizing the current opportunit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Food Education Law. In addition, comprehensive dietary education using whole curriculum including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raining for teachers on dietary edu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stakeholders on health and dietary education including government are sugges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원(Kim, Jeong-Weon). (2010).해방 이후 초등 실과 식생활 교육의 역사와 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 (3), 1-22

MLA

김정원(Kim, Jeong-Weon). "해방 이후 초등 실과 식생활 교육의 역사와 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2010):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