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이용수 724

영문명
The Current Status and Structure of Pyongyang Fortress Assumed Through the Screen Painting of Pyongyang Giseong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백종오(Baek Jong oh)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4號, 129~15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남북이 분단된 현실 속에서 북한의 수도인 평양에 대한 연구는 남한 학자에게는 접근하기 어려운 과제이다. 최근 연구는 고구려의 수도로써 일제강점기 일인 학자 및 1950~1970년대 북한의 고고학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평양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근간의 연구와 더불어 고고학 자료의 정리 및 효율적인 검토, 평양 성곽의 변화 및 각종 시설물의 비정과 복원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사서인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등을 비롯한 각종 문집, 후대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평양의 성곽과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규명이 중요할 것이다. 이 연구는 평양성에 대한 소략한 기록과 고고학 자료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조선 후기 평양성부터 검증하여 되짚어 나가는 방법으로 평양성의 현황과 구조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조선시대에 작성된 고지도와 더불어 조선 후기 평양의 모습을 상세히 그린 ‘平壤箕城圖’를 통해 살펴보았다. ‘平壤箕城圖’는 조선 제22대 정조(재위 1776~1800)가 수원 화성을 축조하기 위한 모색으로 지도를 제작하면서 그 틀이 갖추게 되었다. ‘平壤箕城圖’는 평양의 역사 유적 및 관아의 위치를 상세히 그린 지도의 기능을 하면서도 수려한 자연풍경을 회화의 산수화법으로 표현한 地圖山水體 그림이다. 19세기 이후에는 기성도 병풍에 대한 수요층이 확대되면서, 평양이라는 주변 경관과 기록 혹은 기념을 목적으로 한 회화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본고에서는 ‘平壤箕城圖’에 투영된 조선시대 후기 평양의 실제 모습을 통해 부성(내성), 중성, 외성, 그리고 북성으로 구분하여 현황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와 북한의 고고학 자료를 비교한 결과, 외성 성벽의 구조에 대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북한 측에서는 평양성은 모두 석축으로 되었다고 하나, 문헌과 지도에서는 토성으로 축조된 것으로 기록된 사실과 대비된다. 또한 북성의 우마성은 고려 대몽항쟁기의 甬道가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성의 방어기능을 높이기 위한 옹성 포대의 성곽으로 변화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평양성의 현황과 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서경성, 668년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항전하였던 평양성의 모습을 되짚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 the reality of our nation divided by South and North, study of Pyongyang, the capital city of North Korea is a hard task to access for scholars of South Korea. Recent studies were done based on studies conducted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rcheological materials of North Korea in the 1950~1970s. However, in order to research Pyongyang systematically, it is required to summarize archeological materials, conduct effective review on them, identify the changes in Pyongyang fortress and various facilities based on assumption and comparison with similar ones, and conduct recovery works from the changes. For the purpose, we need to collect and summarize various literatures as well as existing history books including Story of Three Nation History (Samguk Sagi), History of Goryeo Kingdom(Goryosa), Chronological History of Goryeo Kingdom(Goryosa Jeolyo), and the Annals of Joseon Dynasty(Joseon Wangjo Silrok), in order to analyz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regarding fortresses of Pyongyang and chan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structure of Pyongyang Fortress in the way to retrace facts back from the Pyongyang Fortress at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there were lack of records on the Pyongyang Fortres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For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the Screen Painting of Pyongyang Giseong(Pyongyang Giseongdo) which described the scenes of Pyongyang at the late of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ancient maps made in the Joseon Dynasty. The Screen Painting of Pyongyang Giseong formed its frame when King Jeongjo made a map for building Hwaseong Fortress in Suwon. It functioned as a map that described the locations of historical relics and government offices in detail while expressing beautiful scenery of the nature through landscape painting method of a painting. Since the 19thcentury, demands for folding screens of Giseong map had been expanded and painting elements for the purpose of record or souvenir were added to the screen painting along with the scenery around Pyongya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 process of Pyongyang Fortress through the actual scenes reflected in the Screen Painting of Pyongyang Giseong of the late times of Joseon Dynasty by classifying it into Annex Fort(Inside Fort) Central Fort, Outer Fort, and North Fort. As a result of comparative review with archeological materials of the North Korea,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e of the walls of outer fort. In particular, records in North Korea described that Pyongyang Fortress was built with stones, which is contrary to the literatures and maps that recorded it as an earthen fortress.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corridors of Wooma Fortress of the North Forth was changed from the protective enceinte with artillery in order to increase the defense function of a fortress passing through the Manchu War in Goryeo Kingdom. In addition to studying the status and structure of Pyongyang Fortress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assume the scenes of Pyongyang Fortress in which people protested against the allied force of Shilla Kingdom and Tang Dynasty in 668 in the era of Goryeo Kingdom.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文獻資料 속의 平壤城
Ⅲ. ‘平壤箕城圖’ 속의 平壤城
Ⅳ. 맺는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종오(Baek Jong oh). (2016).‘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백산학보, (104), 129-157

MLA

백종오(Baek Jong oh). "‘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백산학보, .104(2016): 129-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