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조선 시기 요남지역 무덤의 몇 예

이용수 499

영문명
A Study on the Analysis of Tombs in Liaonan Region of Gojoseon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하문식(Ha moon si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4號, 67~9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고조선 시기에 해당하는 요남지역의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움무덤, 독무덤의 대개를 살펴본 것이다. 이 시기에는 사회 발전의 다원화 영향으로 비슷한 시점에 여러 무덤들이 같이 축조된 것을 알 수 있다. 무덤방의 구조적인 특징으로는 왕둔 1호 돌널무덤의 벽 시설이 있다. 왕둔 1호 무덤은 무덤방의 긴 벽 바깥에 판자돌이 덧붙여 있는데 이것은 뚜껑돌의 하중 문제를 고려한 무덤방의 보호시설로 해석된다. 묻기는 무덤방의 크기, 주검의 위치와 방향, 사람뼈 출토 정황으로 볼 때 바로펴묻기가 기본이며, 엎어묻기, 옆으로 굽혀묻기, 옮겨묻기, 화장 등 상당히 다양한 방법이 이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상마석 독무덤은 사람뼈로 볼 때 어린 아이만 찾아지고 있기 때문에 어린 아이의 전용 장제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화장도 대부분의 무덤에서 조사되어 고조선 시기의 주된 장제로 여겨진다. 제의와 관련해서는 구멍이 뚫린 토기가 있다. 윤가촌 12호에서 찾아진 단지의 몸통에는 의도적으로 뚫은 구멍이 있다. 이런 것이 본계 태자하 유역의 동굴무덤에서도 조사되고 있어 비교된다. 출토 유물은 석기, 토기, 청동기, 치레걸이로 크게 구분된다. 고조선 시기의 고인돌이나 동굴무덤보다는 그렇게 많이 찾아지지 않았지만 청동기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양적으로도 많은 편이다. 청동기는 비파형동검, 세형동검, 중국식 동검 등 무기류와 검집, 끌, 도끼, 화살촉, 검자루 맞춤돌 등이 조사되었다. 여러 무덤의 연대는 구조의 특성과 출토 유물의 다양성으로 볼 때 시기의 폭이 상당히 넓을 것으로 여겨진다. 청동검으로 볼 때 세형동검과 중국식 동검이 출토된 서가구와 윤가촌 12호 돌덧널무덤은 기원전 4세기쯤으로 해석되며, 비파형동검이 찾아진 서방신 무덤은 기원전 7세기에 축조되었던 것 같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ombs of Liaonan region of Gojoseon. Several kinds of tombs such as stone cist, stone lined tomb, wooden coffin tomb and jar coffin were constructed in Liaonan region of Gojoseon. Owing to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society in Gojoseon, a variety of tombs had been constructed.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burial methods and the burial customs of tombs. These studies are helpful to understand the similarity of numerous cultures of Gojoseon. Extended burial method was commonly used and other burial methods including prone burial, reburial, contracted burial, cremation were us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hildren’s bones are the only human bones excavated in the jar coffins of Shangmashi, it is supposed that they are the only burial method for children. The fact that cremation is found in the most of the tombs reveals that cremation is popular with the people of Gojoseon. Pottery with a hole was buried with the dead. It seems that this signify the desire for the dead that transcends daily life. Excavate remains are largely divided into stone tools, pottery, bronze artifacts and personal ornaments. Though the excavated bronze artifacts are fewer than the dolmens and catacombs of Gojoseon, various kinds of the bronze artifacts were fou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tombs and the diversity of excavated remains show that the period of the tomb may be considerably wide. Tombs in Liaonam region are one of the chief sources of information on Gojoseon, and numerous aspects of society are supposed to be defined by their burial customs.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관련 유적의 몇 예
Ⅲ. 무덤의 성격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문식(Ha moon sig). (2016).고조선 시기 요남지역 무덤의 몇 예. 백산학보, (104), 67-99

MLA

하문식(Ha moon sig). "고조선 시기 요남지역 무덤의 몇 예." 백산학보, .104(2016): 67-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