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실과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단원 교실수업 상황 분석

이용수 95

영문명
A Situational Analysis of the Practical Arts’ Unit of ‘Making goods by Sewing’ Classroom Instruc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윤정희(Yun, Junghee) 최지연(Choi, Jiyeon)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2호, 113~13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상황학습론에 터하여 실과 교실수업의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실과 교실 수업에서는 어떤 상황들이 나타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수업을 공개할 의사가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그 학급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근거이론 중 형성적 접근법을 통해 원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도 구로는 수업관찰 프로그램인 The Observer XT 10.1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실과 수업에서 나타난 상황은 상황학습론에서 강조하는 ‘타자, 도구, 맥락, 환경’과 실과의 독특한 수업 방식인 ‘실습’을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었다. 실과 수업의 ‘실습’이라는 수업 방식은 수업 참여자인 학생 자신 안에서, 학생 간 또는 교사와 학생간의 여러 방향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은 각 개인의 다양한 맥락과 환경이라는 특수 성이 작용하므로 교사는 교실수업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일상들을 잘 알고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 하여 여러 가지 상황에 잘 대응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실과 수업에서 발생하는 수업 상황은 차시별 수업 목표와 내용에 따라 그 전개 양상이 달라지는데 수업 중 ․ 후반으로 갈수록 학생 내 또는 학생 간 인지갈등을 통하여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자아, 상호작용’과 관련된 상황이 잘일어나도록 교사가 수업 상황을 이끌어가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what kinds of situations occur in Practical Arts classroom instructions of elementary school by observing and analyzing it.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by targeting teacher who wants open his instruction for the study. The main sources of the study were video files recorded on his instructions. The raw data analysis used the coding process of the emerging design, and the instructional analysis was executed using the Observer XT 10.1 observational software for the classroom instruct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ituation is shown in the classroom of the Practical arts could understand highlight the situation i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others, tools, context, environment and the practice was unique teaching methods of the Practical Arts. The practice was teaching methods of the Practical arts in the classroom student participa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r between student interaction took place in several directions. This interaction was called the individual peculiarities of a variety of contexts and environments acts, so arising from the classroom teacher to know many different variables to consider every day a variety of situations requires the ability to respond well. Also, the situations occurring in the Practical arts classroom vary aspects of development depended on periods objectives and contents. Toward the middle of the second half of class teacher have to leads up teaching situation well as ego, interaction to occur to help solve problems through cognitive conflict within or among students.

목차

I. 서론
II. 실과 교실수업 이해의 관점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IV.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단원 교실수업 상황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정희(Yun, Junghee),최지연(Choi, Jiyeon). (2015).초등학교 실과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단원 교실수업 상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 (2), 113-134

MLA

윤정희(Yun, Junghee),최지연(Choi, Jiyeon). "초등학교 실과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단원 교실수업 상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2(2015): 113-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