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대학교 실과 의생활영역 교육과정 분석

이용수 96

영문명
Analysis of Clothing Education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윤정(Lee, Yun-ju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1호, 179~19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국 10개 교육대학교에서 운영되는 의생활영역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예비교사 들을 위한 의생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10개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2015년도 강의계획서를 전자메일과 전화통화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교양과정, 교과교육과정, 심화과정으로 분류하였고, 이를 다시 강좌의 편제,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및 평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과정은 2개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1,2학년에 2학점 2시간, 선택교과로 개설되어 있으 며, 내용은 의생활에 관한 지식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과교육 과정에서의 의생활교육은 대학교마다 운영방식이 달랐다. 강의 시간은 2주~15주까지로 매우 다양하 였고, 강의내용은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습내용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교과교육과정은 전국 교육대학교의 모든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및 현장교육과 연계된 교육내용요소가 포함되는 표준안의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심화과정에서 의생활교육과정 편제는 다양하였다. 아수학년은 2~4학년, 이수학점은 2~3학점, 이수시간은 2~4시간이며 필수강좌 6개교, 선택강좌 9개교였다. 교육목표는 초등의생활교육지도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내용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의생활교육의 의미, 옷차림과 옷 관리, 다양한 바느질도구를 활용한 생활용품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강좌의 경우에는 일반 의생활에 관한 지식을 다루고 있었는데, 심화과정도 교육대학교의 특성에 맞게 의생활교육의 전문성을 심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는 3개 과정 모두 강의와 실습중심이며, 평가도 지필평가, 과제물평가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교수·학습방 법의 개발과 과정중심의 평가가 필요하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생활 관련 강좌 중 일부 강좌는 한 학기 중 일부시간만 의생활교육을 하고 있어서 강좌에 대한 세부적인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또한 강의계획 서만으로는 강좌에 대한 충분한 비교가 부족하였으므로 개별 면담을 통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 졌으면 하고, 2015개정교육과정은 핵심역량과 핵심개념 중심의 교육과정이므로 예비교사들의 의생 활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강좌가 개발되기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 a variety of curriculums in clothing education division that are operated at ten universities of education (universities hereafter) in Korea so as to explore educational direction in that area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research is based upon emails and phone-calls to collect course syllabus for academic year 2015, which are classified into general courses, introductory major courses, and advanced major courses that are analyzed in terms of course systems, education goal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is my research findings through this research. First of all, clothing education in general courses, offered in two universities, are just elective courses of two credit units and two hours per week targeting 1st and 2nd year students of which the contents are overall knowledge and practical stuff across clothing life. Second, the clothing education in introductory major courses differ among universities with respect to lecture hours - from twelve to fifteen. Course contents are mostly occupied by practical exercise based upon 2009 curriculum, which imply necessity to develop a nationwide standard curriculum or course plan for prospective teachers. Third, advanced level major courses vary from two to four grades, two to three credit units, and two to four hours per week, while they are compulsory in six universities and elective in nine universities. The most popular education goal is to learn basic knowledge and functions in clothing area in elementary school level. Education contents are composed of meaning of cloth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othing and cloth-management, making activity using needling tools. A few courses seem to cover knowledge regarding general clothing life. The advanced courses should offer opportunity to deepen expertise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and every university.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re only practice oriented in all the three universities whereas evaluation focuses on writing and homework. This implies a crucial need to develop various methods considering curriculum. Based upon review of partial course materials, this research lacks in proposing reasonable resolutions or remedy to correct detailed problems. Moreover, the research is limited by a simple comparison of curriculum rather than by interview or discussion with teachers.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improve this research in those senses an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lothing educ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to utilize the 2015 curriculum which centers on core competence or core concep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현행 교육대학교 의생활영역 교육과정 분석
IV. 결과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정(Lee, Yun-jung). (2016).교육대학교 실과 의생활영역 교육과정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 (1), 179-195

MLA

이윤정(Lee, Yun-jung). "교육대학교 실과 의생활영역 교육과정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1(2016): 179-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