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왕부지의 노자비판과 그 의의에 대한 고찰

이용수 275

영문명
A Study of Wang Fu-Zhi s Criticism on Laozi Philosophy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金珍根(Kim Jin Kun)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6輯, 157~19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왕부지의 노자비판과 그 속에 드러난 의의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필자는 이렇게 하는 것이 유학자로서 왕부지의 특징과 그가 강조하였던 유학의 특성이 잘 드러난다고 보았다. 제Ⅱ장에서는 논의를 풀어가기 위해 왕부지가 노자와 장자를 다르게 봄에 대해서 논하였다. 즉 왕부지는 이들이 ‘도가’라는 한 학파로 분류된다고 하여 한 통속에 넣게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르게 보며, 아울러 장자는 긍정적으로 봄에 비해 노자에 대해서는 비판하며 부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노자의 우주론에 대한 왕부지의 비판과 그 속에 드러난 의의에 대해서 논하였다. 필자는 여기에서, 노자의 우주론에 드러나 있는 우주 근원의 ‘선재(先在)’론과 이 세계의 근원으로부터 만물로의 ‘점분(漸分)’론에 대해 왕부지가 비판하는 것을 고찰하였다. 즉 장왕(張王) 패러다임을 통해 이 세계는 시작도 끝도 없이 인(絪)·온(縕) 운동을 하며 거대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태화인온지기(太和絪縕之氣)’ 속에 자체 완결되어 있으며 제3의 세계를 말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학에서 내세(來世)를 이야기하지 않으며 살아생전에 최선을 다해서 살고, 죽음을 편안히 맞이하라고 함과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제Ⅳ장에서는 노자의 예론에 대한 왕부지의 비판과 그 속에 담긴 의의를 고찰해보았다. 이 장에서는 왕부지의 예론이 ‘사람세상의 운용과 유지를 가능하게 함’을 예의 본령이자 근본으로 친다는 것, 예는 자기를 비움을 근간으로 한다는 것, 그래서 이것이 공자의 ‘자기를 비우고 예를 회복함’과 일맥상통하는 것임을 논하였다. 아울러 왕부지는 예악이 무너져 망국을 초래한 예(例)를 명나라 후기의 양명학 발흥에서 찾는데, 여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 바로 노자철학과 불가사상이라고 본다는 점이다. 이처럼 왕부지는 노자철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유가의 패러다임을 더욱 분명히 제시하였고, 사람세상에서는 그 운용을 위해 예(禮)가 필수불가결함을 강조하였다. 즉 다른 종교들에서와 같이 우리가 발붙인 채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을 문제 있는 것으로 보고 이를 여읠 생각에만 골몰할 것이 아니라, 이 세상에서의 삶에 최선을 다하고 죽음을 의연히 맞이하라고 하는 것,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공동체를 꾸리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유지하고 경영하기 위해서는 예악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I have considered Wang fu-zhi s Criticism on Laozi Philosophy and Its Meaning in this article. I think that it exposed Wang fu-zhi s feature as confucian and confucianism he emphasized more clearly. In the 2nd chapter I have argued first Wang viewed Laozi and Zhuangzi differently. In fact Wang viewed Zhuangzi affirmatively but viewed Laozi negatively, although they are belong to taoism also. In the 3rd chapter I have argued Wang s criticism on Laozi s cosmology and its meaning. Wang criticised Laozi s assertation on preexition of cosmic ultimate source and gradual appearance of all creatures. In other words, through the Zhang-Wang paradigm our worlds is moving in yin(絪)·yun(縕) way without start and finish permanently. Our world is closed in the great harmony of yin(絪)·yun(縕) qi(氣) and self-completion. So in this paradigm it can t be said the 3rd world. Therefore in confucianism it is not said the next life, nirvana and eternal life. They said that we must do our best in this life. There is nothing remains but to do our best in this life, and receive our death comfortably. In the 4th chapter I have discussed Wang s criticism of Laozi s li(禮) theory. In this chapter I have mentioned Wang maintained his opinion that the basis of li(禮) is enable to do management of human community and li(禮) is based on self-emptiness. So I think Wang s assertion on li is similar to Confucius famous proposition ‘empty ourself and recover li(克己 復禮)’ semantically. Wang said that we can t manage our human community without li. Therefore Wang criticized the doctrine of Wang Yangming cruicially because of its assertion ignorance li and making ruined ming(明) dynasty as a consequence. Laozi s philosophy and buddism effected the doctrine of Wang Yangming crucialy. Like this through criticism on Laozi s philosophy Wang proposed the confucius paradigm clearly and asserted li is essential to management of our human communit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왕부지의 노장관(老莊觀)에 드러난 노자 비판
Ⅲ. 노자의 우주론에 대한 비판과 그 의의
Ⅳ. 노자의 예론에 대한 비판과 그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珍根(Kim Jin Kun). (2016).왕부지의 노자비판과 그 의의에 대한 고찰. 동양철학, 46 , 157-192

MLA

金珍根(Kim Jin Kun). "왕부지의 노자비판과 그 의의에 대한 고찰." 동양철학, 46.(2016): 157-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