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교실제 정책이 교육자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764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Policy on Educational Resources and Academic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우명숙(Myung Suk Woo)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5권 제4호, 175~19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과교실제 정책의 투입과 산출(성과)을 분석하기 위해 정보공시제, 수학능력시험성적, 학교회계 결산 자료 등 전국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준실험적 분석방법인 경향매칭분석(Propensity Matching Score: PSM)과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사용했다. 분석 결과, 첫째 교과교실제 시행으로 정규 교사와 기간제 교사 또는 강사 수에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과교실제 정책의 시행으로 수준별 이동수업 등을 위해 학급이 증가하고 따라서 교사의 배치가 더 필요하지만 교사에 대한 수요를 모두 사업비에서 기간제 교사나 강사를 채용했기 때문에 정규 교사의 수는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과교실제 시행으로 인해 학교 수준의 총교육비는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교실제 시행 학교의 기간제 교사나 강사 수와 총교육비가 미시행학교보다 많지 않은 것은 미시행학교에서도 교과교실제 이외의 다른 교육프로그램을 지원받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교과교실제를 3~4년 동안 운영한 학교와 달리 2013년 교과교실제를 도입하여 비교적 최근 2년간 시행한 학교는 미시행학교에 비해 외국어(영어)영역에서 미미한 수준이지만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교과교실제를 시작한 시기나 시행한 시기, 과목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어 교과교실제 정책의 효과를 단언할 수 없으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는 경우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Policy on educational inputs such as teachers and education expenditure and output represented by academic performance using school information data, college entrance exam scores, and school finance data provided by EduData Service System. The study estimated Propensity Matching Score and restricted samples to ensure homogeneity between treated and control groups. And then the study computed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es in order to analyze causal effect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Polic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s of teachers and temporary teaching staff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expenditure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Subject Classroom System schools did not have enough resources to employ more temporary teaching staff and spend more money for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compared to control groups which could get budget for other educational programs. Third, average English score at Subject Classroom System schools which implemented the System during 2013-14 were marginally high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Subject Classroom System schools which implemented for three to four years. This suggested that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might affect academic performance if it was implemented effectively.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명숙(Myung Suk Woo). (2016).교과교실제 정책이 교육자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5 (4), 175-196

MLA

우명숙(Myung Suk Woo). "교과교실제 정책이 교육자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5.4(2016): 175-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