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문대 졸업 외국어고 출신 학생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 분석

이용수 454

영문명
The effects of elite high schools(“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on early career labor market outcom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이필남(Yi Pil nam)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5권 제4호, 65~9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교체제의 상위에 자리하고 있는 외국어고 출신 학생의 대학교 졸업 이후 초기 노동시장 성과 등을 관찰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고교 계층화가 갖는 경제·사회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8년부터 2013년의 기간 사이에 조작적으로 정의된 명문대학(상위 10개교, 상위 3개교)을 졸업한 자를 대상으로 외고와 일반계고 유형에 따라 대졸 이후 노동시장으로 이행하는 경로와 노동시장 성과가 어떻게 다른지 경향점수매칭 방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고 출신 학생들은 부모학력과 가구소득 수준이 일반계고 출신 학생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서, 고교 단계에서 외고가 사회적 계층을 반영하는 기제임을 재확인하였다. 둘째, 대학 졸업 후 18개월 또는 24개월 경과 시점에서 취업, 대학원 진학, 취업 또는 진학 준비라는 노동시장 이행경로는 외고와 일반계고 출신 학생간 차이가 없었다. 셋째, 외고 출신 학생들은 일반계고 출신 학생보다 임금은 낮았으나, 상위 3개 대학을 졸업한 서울 및 경기 지역 외고 출신 학생들의 경우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 확률이 높고, 지방 외고 출신 학생들의 경우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명문대 졸업 외에도 외고라는 학력자본이 독립적으로 계층 재생산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을 가능성을 일부 제시하였다. 다만,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행 시작점에 관찰된 결과라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으로 추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 임금과 괜찮은 일자리 취업 여부가 일부 상반되게 나타난 문제는 앞으로 후속 연구를 통하여 해결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find implications of school differentia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elite high schools, so calle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on early career labor market outcomes in Korea.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between 2008 and 2013, we restricted samples to high-ranking 10 and 3 universities to investigate labor market outcomes of elite schools. We employed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to construct comparable samp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aduates are more likely from high-SES family, which confirms disproportionate concentration of student from high class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Second,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school to work transition betwee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aduates and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Thir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aduates earn less than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but graduates from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 more likely to hold a decent job and graduates from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outside Seoul and Gyeonggido are less likely to hold a decent job than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on the possibility of class reproduction through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over and above elite university education. Nevertheles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ddress the question of interpreting the findings based on social capital formation among elite high school graduates and to disentangle contradictory findings between wage and decent job acquisi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필남(Yi Pil nam). (2016).명문대 졸업 외국어고 출신 학생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5 (4), 65-90

MLA

이필남(Yi Pil nam). "명문대 졸업 외국어고 출신 학생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5.4(2016): 65-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