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규장각 소장 조선왕실의 악기제작 의궤 고찰

이용수 400

영문명
The Consideration of the Royal Protocols uigwe of the Joseon Dynasty Concerning the Manufacturing of Musical Instruments, Owned at Kyujanggak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송지원(Song Ji wo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3집, 145~19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재 규장각이 소장하고 있는 4종의 악기제작관련 의궤(儀軌)의 현황에 대한 보고이다. 이들 의궤 가운데 1624년(인조 2)의 『제기악기도감의궤』가 가장 이른 것으로 제기(祭器)와 악기 및 의물(儀物)의 제작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1745년(영조 21)의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는 창덕궁 인정전의 화재로 인해 소실된 악기를 다시 제작하는 과정을, 1804년(순조 4)의 『사직악기조성청의궤』는 사직 악기고(樂器庫)의 화재로 인해 소실된 악기 제작과정을 기록하였다. 또 1776년(정조 즉위)의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는 당시 새롭게 제정된 경모궁제례에서 제례악을 연주하기 위한 악기 제작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이러한 의궤를 통해 인조대, 영조대, 정조대, 순조대 악기 제작 목적 및 제작 현황, 제작과정, 악기를 만드는 재료, 재료의 조달 방법과 조달처, 악기 제작 단가, 악기 제작에 참여한 장인(匠人)의 종류와 전문분야, 악기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의 임금상황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각종 장인들의 명칭과 그들이 담당한 전공분야가 매우 세분화되어 있고, 분업화되어 있다는 사실과 1등 장인(一等匠人)에서 3등 장인(三等匠人)에 이르는 각종 기술직 장인들의 다양한 존재양상을 알려주기도 한다. 이들 의궤 중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와 같은 기록에서는 정조대 당시 악기 제작 단가도 기록하여 당시 악기의 가치도 알려주고 있다. 또 악기 제작재료를 조달하는 과정을 기록하였기 때문에 경석(磬石)과 같은 특정 악기 재료 채굴처가 어느 곳인지 알 수 있는데, 사직악기조성청의궤의 기록을 통해 편경의 재료로 사용되는 경석은 수원부의 건달산(乾達山)에서 채굴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며 이와 더불어 돌을 채굴할 때 사용하는 도구에 대한 정보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내용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규장각에 소장된 조선시대 악기제작 관련 4종의 의궤는 악기제작 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사회경제적 측면, 문화적 측면을 비롯, 조선 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장인(匠人)의 현황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조선시대 사회를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의궤라는 의미도 아울러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current condition of royal protocols uigwe 儀軌 concerning the manufacturing of 4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currently owned at Kyujanggak. From among those royal protocols uigwe, Jegiakgidogamuigwe 祭器樂器都監儀軌 in 1624 (the 2nd year of King Injo) was the earliest one, which recor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utensils for ancestral rites, musical instruments, and ceremonial tools. Injeongjeon akgijoseongcheonguigwe 仁政殿樂器造成廳儀軌 in 1745 (the 21st year of King Yeongjo), recorded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gain for musical instruments which had been lost to fire in Injeongjeon of Changdeok Palace, and Sajik akgijoseongcheonguigwe 社稷樂器造成廳儀軌 in 1804 (the 4th year of King Sunjo) recor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musical instruments which had been lost to fire in the warehouse of musical instruments for the Royal Court. Also, Gyeongmogung akgijoseongcheonguigwe 景慕宮樂器造成廳儀軌 in 1776 (the year of the coronation of King Jeongjo) recor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usical instruments for playing ancestral rite music at the newly established ancestral rites at Gyeongmo Palace. Through such royal protocols uigwe, it is possible to obtai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vering the purpose of manufacturing musical instruments and an overview of manufacturing during the times of King Injo, King Yeongjo, King Jeongjo, and King Sunjo,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materials for manufacturing musical instruments, the procurement method for materials and places of procurement, the manufacturing costs of musical instruments, the type and special fields of artisans who participated in manufacturing musical instruments, and the wag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manufacturing musical instruments. In particular, they disclose that the nominations of each artisan and special fields they were in charge of were greatly segmented and divided, and there existed diverse patterns of existence for various technical master craftsman ranging from the first to the third. Among those royal protocols uigwe, the records in Gyeongmogung akgijoseongcheonguigwe reveal the value of a musical instrument back then by recording the manufacturing costs of musical instruments during King Jeongjo. Also, as they recorded the process of procuring materials for manufacturing musical instrumen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places used to excavate specific materials for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pumice stone. Then, it was confirmed from the records in Sajik akgijoseongcheonguigwe, that pumice stone, which was used as a material for pyeongyeong 編磬, was excavated from Geondalsan (mountain) of Suwonbu. Along with that, the royal protocol was discovered to contain a broad spectrum of contents even covering information about tools used for excavating stone. As such, the 4 types of royal protocols uigwe in relation to the manufacturing of musical instruments during the Joseon period, owned at Kyujanggak, propose diverse contents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manufacturing of musical instruments, themselves, ranging from the socioeconomic aspect and cultural aspect, to the current condition of various artisans owned by the Joseon society; thereby, they are also meaningful as a royal protocol which enables us to see the Joseon society from three-dimensional angl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규장각 소장 악기제작 의궤 현황
Ⅲ. 악기제작 의궤의 시기별 특정
Ⅳ. 악기제작의 목적과 제작내용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지원(Song Ji won). (2011).규장각 소장 조선왕실의 악기제작 의궤 고찰. 국악원논문집, 23 , 145-190

MLA

송지원(Song Ji won). "규장각 소장 조선왕실의 악기제작 의궤 고찰." 국악원논문집, 23.(2011): 145-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